완도는 국·공립 중복 투자로 예산낭비 우려 주장도
산림청 대상지 선정절차 연기 속에 두 지자체 사활 건 유치전

이달초 실시예정이었던 산림청의 국립 난대수목원 후보지 현장실사 및 사업추진 타당성 평가가 9월께로 연기되면서 경쟁지역인 전남 완도와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사진은 동부면의 국립 난대수목원이 들어설 지역의 전경.
이달초 실시예정이었던 산림청의 국립 난대수목원 후보지 현장실사 및 사업추진 타당성 평가가 9월께로 연기되면서 경쟁지역인 전남 완도와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사진은 동부면의 국립 난대수목원이 들어설 지역의 전경.

산림청이 이달 초 실시예정이었던 국립 난대수목원 후보지 현장실사 및 사업추진 타당성 평가를 연기함에 따라 유치전을 벌이고 있는 경남 거제와 전남 완도가 숨고르기에 들어간 모양새다.

이달 초 산림청은 후보 지역 지자체에 공문을 보내 국립난대수목원 조성사업 내년 예산이 기획재정부서 확정되면 대상지 선정절차를 진행하겠다고 연기 통보를 했다. 정부 예산안이 8월말께 확정되는 예년의 경우를 비교하면 현장실사도 한 달 이후로 연기된 셈이다.

그러나 두 자치단체는 국가기관을 유치하면 고용이 창출되고 관광자원이 구축돼 지금의 위기를 극복할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는 기대 아래 정치·학계·정부 등 관련 인사를 총동원한 물밑 유치활동을 치열하게 펼치고 있다.

거제시 한 관계자는 "난대수목원 선정절차가 한 달 이상 연기됨에 따라 뜨거웠던 분위기가 다소 냉각된 것처럼 보이지만 이미 14만 명 이상이 날인한 서명지를 관련부처에 전달했고, 서명 종결시점 이후에도 자발적인 서명이 많아 참여 인원이 16만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또 "내부적으로 현장실사와 타당성 평가에 대비한 준비에 만전을 기하면서, 관련 인사를 총동원해 산림청 등 관계부처에 거제시 유치의 당위성을 주장하는 등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달 초 진행하려던 산림청의 타당성 평가를 정부 예산안 확정 이후로 연기함에 따라 내년 총선을 앞두고 두 지역에서 생길 후유증을 줄이기 위해 '정치적 타협'을 모색하지 않겠느냐는 등 각종 확인되지 않는 추측성 루머가 나오고 있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거제시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고 덧붙였다.

거제시는 2009년 국립수목원 조성을 추진하고 기본계획 용역, 자연자원 조사, 사업대상지 진입도로 지정 등 오래전부터 준비해 온 점을 들며 선점효과를 노리고 있다. 완도군이 뒤늦게 숟가락을 얹으려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완도군은 1991년 조성한 공립 수목원이 운영되고 있어 국립 난대수목원을 만들면 중복 투자로 예산낭비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국·공립이 동일 지자체에 있으면 사업과 연구가 겹친다는 논리다. 이 같은 주장이 언론에 보도되자 완도군수는 최근 통영까지 방문해 항변하는 등 신경을 곤두세우기도 했다.

국비 1000억원 이상이 투입되는 국립 난대수목원은 지구온난화와 관련해 기후변화 및 식물상 변화 연구, 난대와 아열대 산림·생물자원 보존과 활용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지역 랜드마크·관광자원으로서도 더할 나위 없이 좋다. 입지 선정과 기본구상 완료, 2021년 예비타당성 조사, 2024년 기본 및 실시설계를 거쳐 2028년경 개장할 예정이다.

산림청은 현장심사 70%와 서류심사 30%를 반영해 거제와 완도 가운데 한 곳을 수목원 조성사업 대상지역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경남도와 거제시에 따르면 거제 난대수목원 조성 대상지인 동부면 구천리 일대는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전형적인 해양성 난대 기후대다.

연평균 기온이 섭씨 14.3도, 1월 평균 기온은 섭씨 3.7도로 영상 기온을 유지해 난대 및 아열대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지역이어서 난대수목원 조성 최적지로 꼽는다. 경상대 농업생명과학연구원이 2009년 실시한 자연자원조사 자료에 따르면 거제 난대수목원 조성 대상지역은 해발고도 50~445m로 200m 이하 지역이 전체의 47.9%를 차지한다.

해안지대에 위치해 경관도 빼어나고 다양한 식물상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열대성 기후지역에 분포하는 동백나무·팔손이·소철·종려나무 등이 이미 자생하고 있어 난대식물 생육환경 최적지임이 검증됐다고 강조하고 있다. 특히 남부내륙철도와 가덕도 신공항이 들어서면 접근성도 뛰어나 국제적 명소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