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투리가 살아야 지역이 산다 ①]
"어떻게든 우리도 사투리 한번 활용해 봅시다"
사라져가는 거제 사투리 보존 및 활용 시급

최근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소멸 지역 분석' 연구서에 따르면 오는 2040년 우리나라에서 소멸이 예상되는 행정 지역 57개 중 지방이 80%를 차지하며, 특히 지역 언어문화와 지역어는 급격한 인구 감소와 함께 보존이 시급한 상태다.
이는 한때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사투리 등 지역 언어는 틀린 말이자 쓰지 말아야 할 말로 취급해 학교 교육이 표준어 중심의 교육으로 진행된 후유증이기도 하다.
이런 과정을 겪으며 지역의 언어, 즉 사투리 문화는 소멸이 더욱 가속화됐으며 거제지역 사투리 문화도 다른 지방의 사투리와 마찬가지로 지방의 언어라는 이유로 표준어에 밀려 점점 사라져 가는 운명을 맞고 있다.
그러나 사투리는 그 지역 사람들이 살아온 자취와 흔적이며 다양한 삶의 사연은 물론 세월의 위엄이 새겨진 역사의 나이테 인만큼 지역 문화와 지역 정체성이 녹아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 특히 지역 언어인 사투리는 한번 사라지면 영원히 대체 불가능한 천연자원으로 지역민이 나서 지역 언어의 권리를 찾고 지역사랑 및 지역 정체성을 살릴 필요가 있다.
이번 기획은 지역 문화와 지역 정체성이 녹아 있는 지역 언어문화 자료인 지역 사투리 활용 사례를 발굴해 지역문화를 보존하고 관광산업에 접목할 방법을 찾기 위한 여정이다. 이는 사투리가 살아야 지역이 살고, 지역 풀뿌리 언론이 바로 서야 우리나라 언론의 미래가 있다는 거제신문의 의지 이기도 하다.   - 편집자 주

현재 거제지역에서 사투리를 활용한 유일한 안내판이 설치된 일운면 구조라 마을 '샛바람소릿길' 입구. /사진= 최대윤 기자
현재 거제지역에서 사투리를 활용한 유일한 안내판이 설치된 일운면 구조라 마을 '샛바람소릿길' 입구. /사진= 최대윤 기자

지역 사투리는 해당 지역의 문화와 정서가 고스란히 녹아 있다. 때문에 각 지역의 사투리는 그 지역의 오랜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대변하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우리나라의 지역 사투리 소멸이 사례 다수는 급격한 인구 감소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거제지역의 사투리는 인구 감소보다는 인구의 유입 및 급격한 도시발전으로 사라진 특이한 사례다.

거제지역은 조선산업의 발전으로 1970년대 이후 전국의 수많은 조선소 근로자들이 모여들면서 급속도로 공업 도시화가 진행됐고 지역 고유의 문화는 급속도로 붕괴됐다.

이 때문인지 거제지역의 사투리 문화의 전승과 연구는 다른 지역에 비해 관심이 적고 거제지역 사투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은 타 지자체와 비교하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거제지역 사투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은 타 지자체와 비교하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거제의 첫 관문인 신거제대교를 지나자마자 만나는 문구조차 거제시정 슬로건이다. /사진= 최대윤 기자
거제지역 사투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은 타 지자체와 비교하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거제의 첫 관문인 신거제대교를 지나자마자 만나는 문구조차 거제시정 슬로건이다. /사진= 최대윤 기자

전국의 수 많은 지자체들이 각 지역 고유 사투리가 표기된 관광 안내판을 설치하는 등 문화콘텐츠로 활용하는 반면 거제지역은 경남에서 가장 많은 국내외 관광객이 방문하는 관광 도시임에도 지역색을 대변하는 사투리 문구 하나 없기 때문이다.

각 지방마다 다른 방언의 차이를 극복하고,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표준어의 사용은 필수지만 지역 사투리는 표준어가 갖지 못한 다양한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사투리에 대한 관심과 애정은 지역의 고유한 색과 문화를 살리고, 건강한 공동체 의식을 북돋기 위해 꼭 필요한 우리의 문화유산이다.

남북한 14개 도의 방언 지도를 담은 '팔도 말모이' 저자 위평량 박사가 "모든 문화는 언어를 통해 전해지며 지역어를 잃는 것은 고유한 역사와 문화를 잃는 것"이라고 말한 것처럼 점점 사라져가는 지역의 언어인 사투리를 전승하고 보존하는 일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문제다.

최근 각 지역 사투리가 관광 안내판, 드라마, 영화, 광고, 문화 예술은 분야는 물론 고속도로 안전 문구에서까지 널리 활용되고 있는 것도 사람들의 감성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사투리의 순기능 덕분이기도 하다.

전국 지자체 중 사투리를 활용한 콘텐츠가 가장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장소는 전통 시장이다. 그러나 거제지역의 전통 시장에선 지역 특색을 띤 구수한 사투리 문구를 찾아볼 수 없다. /사진= 최대윤 기자
전국 지자체 중 사투리를 활용한 콘텐츠가 가장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장소는 전통 시장이다. 그러나 거제지역의 전통 시장에선 지역 특색을 띤 구수한 사투리 문구를 찾아볼 수 없다. /사진= 최대윤 기자

거제 사투리 살리기 위해 전국으로

현재 거제지역의 사투리 간판이 설치된 곳은 일운면 구조라마을의 '샛바람소릿길' 안내판이 유일하다.

전국 곳곳을 여행 다니다 보면 각 지역 명소엔 그 지역의 사투리를 활용한 콘텐츠가 다양하게 관광객의 눈길을 끌고 있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이에 이번 기획을 위해 지역 사투리를 잘 활용한 지자체 사례를 수집하기 위해 전국 곳곳을 찾아볼 계획이다.

또 보도 이후 거제신문 독자 및 거제시민에게 거제사투리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사투리를 활용한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이 이어지길 바란다.

이번 기획을 위해 취재팀은 전라남도 강진군과 목포시·충청북도 제천시·경상남도 통영시·부산시·제주도의 사투리 활용 사례를 살펴볼 생각이다. 전국 지자체들이 내놓은 다양한 사투리 활용법을 토대로 거제지역만의 특색있는 사투리 콘텐츠를 개발하고 나아가 사투리를 보존할 방법 등에 대해 고민하기 위해서다.

가장 먼저 찾을 곳은 전라도의 지역문화와 지역 정체성이 녹아 있는 전라남도 강진군과 목포시다. 전남 강진군의 '와보랑께 박물관'은 사라져가는 사투리와 우리말이 안타까워 사투리와 한글 관련 책·자료를 모으고, 전라도 사투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라남도 목포시 '목포시화마을'은 지역 토박이 노인들이 직접 쓴 사투리 시화를 골목길에 그려 관광객과 방송촬영이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전국의 수 많은 지자체들이 각 지역 고유 사투리를 활용한 관광 안내판을 설치하고 있지만 경남의 대표 관광 도시인 거제지역은 지역색을 띄는 사투리 문구 하나 없는 실정이다. 사진은 신거제대교 입구에 설치된 거제관광 홍보 전광판. /사진= 최대윤 기자
전국의 수 많은 지자체들이 각 지역 고유 사투리를 활용한 관광 안내판을 설치하고 있지만 경남의 대표 관광 도시인 거제지역은 지역색을 띄는 사투리 문구 하나 없는 실정이다. 사진은 신거제대교 입구에 설치된 거제관광 홍보 전광판. /사진= 최대윤 기자

다음으로 찾아갈 지역은 코스마다 충청도 특유의 구수한 사투리로 만든 안내판이 방문객을 맞이하는 충북 제천시 '청풍호 자드락길'이다.

거제지역과 같은 사투리 문화권도 찾아볼 생각이다. 거제와 지역을 경계하고 있는 통영지역과 부산지역은 동피랑과 초량이바구길이라는 지역의 명소를 지역 사투리를 활용한 콘텐츠로 채워놓고 있다.

거제와 같은 경상도 사투리를 활용한 관광 안내판과 콘텐츠 활용 사례는 거제지역의 사투리 활용 및 콘텐츠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찾을 곳은 전국 지자체 중 지역 사투리를 보존하기 위해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투리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는 제주도 지역이다.

특히 지난 2010년 유네스코는 제주도 사투리인 제주 지역어를 소멸 직전 언어인 '소멸위기 언어 4단계'로 분류한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제주도는 지난 2017년부터 제주도 사투리를 널리 알리기 위해 지역 문화재와 관광지의 안내판과 안내책자 등에 '제주어'를 병기(함께 나란히 적음)하는 것을 의무화 했고, 지역민들도 상가의 간판이나 메뉴판까지 제주어를 사용하는 등 지역 사투리 보존을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