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투리가 살아야 지역이 산다 ⑤]
여행의 즐거움을 더해주는 제주어 찾아 떠나는 길
드라마에 자막까지 깔리는 사투리 끝판왕 '제주어'

최근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소멸 지역 분석' 연구서에 따르면 오는 2040년 우리나라에서 소멸이 예상되는 행정 지역 57개 중 지방이 80%를 차지하며, 특히 지역 언어문화와 지역어는 급격한 인구 감소와 함께 보존이 시급한 상태다. 이는 한때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사투리 등 지역 언어는 틀린 말이자 쓰지 말아야 할 말로 취급해 학교 교육이 표준어 중심의 교육으로 진행된 후유증이기도 하다.
이런 과정을 겪으며 지역의 언어, 즉 사투리 문화는 소멸이 더욱 가속화됐으며 거제지역 사투리 문화도 다른 지방의 사투리와 마찬가지로 지방의 언어라는 이유로 표준어에 밀려 점점 사라져 가는 운명을 맞고 있다.
그러나 사투리는 그 지역 사람들이 살아온 자취와 흔적이며 다양한 삶의 사연은 물론 세월의 위엄이 새겨진 역사의 나이테 인만큼 지역 문화와 지역 정체성이 녹아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 특히 지역 언어인 사투리는 한번 사라지면 영원히 대체 불가능한 천연자원으로 지역민이 나서 지역 언어의 권리를 찾고 지역사랑 및 지역 정체성을 살릴 필요가 있다.
이번 기획은 지역 문화와 지역 정체성이 녹아 있는 지역 언어문화 자료인 지역 사투리 활용 사례를 발굴해 지역문화를 보존하고 관광산업에 접목할 방법을 찾기 위한 여정이다. 이는 사투리가 살아야 지역이 살고, 지역 풀뿌리 언론이 바로 서야 우리나라 언론의 미래가 있다는 거제신문의 의지 이기도 하다.   - 편집자 주

제주도에는 발길 닿는 곳곳마다 제주도 사투리 세상이다. 제주도 사투리는 유명 관광지뿐만 아니라 버스정류장·전통시장·박물관·마을 해변 등 다양한 제주도 사투리 콘텐츠를 만날 수 있다. 사진은 알작지해변 "혼저옵서 내도바당 알작지우다(어서오세요 내도바다 알작지입니다)" 사투리 안내판. /사진= 최대윤 기자
제주도에는 발길 닿는 곳곳마다 제주도 사투리 세상이다. 제주도 사투리는 유명 관광지뿐만 아니라 버스정류장·전통시장·박물관·마을 해변 등 다양한 제주도 사투리 콘텐츠를 만날 수 있다. 사진은 알작지해변 "혼저옵서 내도바당 알작지우다(어서오세요 내도바다 알작지입니다)" 사투리 안내판. /사진= 최대윤 기자

경상도·전라도·충청도·강원도 심지어 이북 사투리까지 각종 드라마와 영화에 소개되면서 익숙하지만 제주도 사투리는 언제 들어도 낮설다.

최근 인기리에 방영된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에선 외국어도 아닌데 화면에 자막이 깔리기까지, 제주도 사투리는 그야말로 사투리의 끝판왕 같았다.

이처럼 제주방언은 다른 지역 사람들이 들었을 때 의사소통이 쉽지 않을 정도로 고유한 특성을 가졌다. 섬이라는 지리적 특수성으로 인해 오랫동안 사투리가 변질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풍부하게 발달하면서 갖게 된 특징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때 제주도도 표준 한국어 교육이 이뤄지면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제주 방언 사용은 급격히 줄었고 급기야 유네스코는 지난 2010년 제주어를 소멸 위기 5단계 중 4단계인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하기도 했다.

제주도 사투리는 전통시장 입구에서도 어김없이 관광객의 발길을 반긴다. 서귀포시장 입구에는 "차자와줘 고맙수다(찾아와줘서 고맙습니다)"라는 문구가, 동문시장 입구에는 "놀멍 쉬멍 먹으멍(놀며 쉬며 먹으며)"라는 문구가 걸려있다. /사진= 옥정훈 기자
제주도 사투리는 전통시장 입구에서도 어김없이 관광객의 발길을 반긴다. 서귀포시장 입구에는 "차자와줘 고맙수다(찾아와줘서 고맙습니다)"라는 문구가, 동문시장 입구에는 "놀멍 쉬멍 먹으멍(놀며 쉬며 먹으며)"라는 문구가 걸려있다. /사진= 옥정훈 기자

이후 제주에선 제주사투리를 살리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됐다. 지난 2017년부터 제주도는 제주도 사투리인 '제주어'를 보존하고 관광객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지역 문화재와 관광지의 안내판과 안내책자 등에 '제주어' 병기(함께 나란히 적음)를 의무화 했다. 때문에 거제지역의 사투리 콘텐츠를 살리기 위해 가장 먼저 생각한 지역도 제주도다.

제주도 사투리를 알아보기 위해 제주도를 오롯이 이해할 수 있는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과 '제주마방목지'를 찾은 것도 제대로 된 제주도 사투리를 배우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취재를 진행할 당시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의 경우 제주도의 방언과 관련된 전시관의 내부 수리로 관람을 할 수 없었다.

다음으로 제주도에서 유명한 말과 관련된 사투리가 있는 '제주마방목지'를 찾았다. 말그대로 제주도 말과 관련된 사투리를 소개하고 있었다.

이를 테면 "사람을 낳으면 서울로 보내고, 말을 낳으면 제주로 보내라"와 같은 사투리 들이다. 말(馬)에 대한 다양한 사투리를 엿볼 수 있었지만, 거제도 사투리를 활용하기엔 성에 차지 않아 못내 아쉬웠다.

제주도 버스정류장의 안내판은 표준어 풀이 없이 제주도 사투리만 있을 뿐인데 거제지역에선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라 신선한 충격이었다. /사진= 옥정훈 기자
제주도 버스정류장의 안내판은 표준어 풀이 없이 제주도 사투리만 있을 뿐인데 거제지역에선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라 신선한 충격이었다. /사진= 옥정훈 기자

발길 닿는 곳마다 제주도 사투리...심지어 버스정류장까지

제주도 사투리 활용 사례를 위해 찾았던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과 '제주마방목지'의 아쉬움은 얼마 지나지 않아 사라졌다. 진짜 제주도 사투리는 애써 찾지 않아도 제주 곳곳에 보석같이 숨어 있었기 때문이다.

여행의 허기를 달래기 위해 찾은 시장 입구부터 "차자와줘 고맙수다(찾아와줘서 고맙습니다)"라는 제주도 사투리가 관광객을 반긴다. 또 다른 시장에는 "놀멍 쉬멍 먹으멍(놀며 쉬며 먹으며)"라는 문구도 눈에 띈다.

유명 관광지도 마찬가지였다. 고작 1년 남짓 피난살이 했던 화가와 그의 가족 4명이 기거했던 1.3평 쪽방은 물론 그가 거닐던 거리에는 온통 소 조형물과 그의 이름이 걸렸지만 제주도 사투리를 위한 자리는 남겨 뒀다.

긴 걸음에 지쳤을 관광객들을 위해 마련한 돌의자 아래에는 △무신 사람덜이 영 하우꽈?(무슨 사람들이 이렇게 많아요) △어디 이신지 알암수과?(어딘지 알고 있나요?) △들멍 믈르난 혼저강보게(듣기만 해서는 모르니까 빨리 가서 보자) △펜안 하우꽈?(안녕하세요?) △강 방 왕 골아 주게마씀(가서 보고 와서 말해 줍시다)등 제주도 생활 사투리가 쓰여져 여행에 사투리 배우는 즐거움까지 더했다.

제주도 사투리는 해수욕장 옆 마을에도 어김없이 반기고 있었다. 제주공항에서 그리 멀지 않은 이호해수욕장과 연결된 내도마을 알작지 해변이다. 알작지라는 이름도 동그란 모양의 '알'과 돌맹이라는 뜻의 '작지'라는 뜻의 제주도 사투리다.

알작지 해변은 관광지라기보다는 제주도 토박이들이 만든 동네 산책길 같다. 바다를 보며 산책하는 곳이라 한적하고 제주도 특유의 돌담길이 낭만을 더해 조깅이나 하이킹 하는 관광객이 많은 곳이다.

이 마을해변의 명물은 따로 있다. 해변길 따라 조약돌(몽돌)로 장식한 시(詩)들이다.

제주도는 애써 사투리 활용 사례를 애써 찾지 않아도 곳곳에 사투리 콘텐츠가 널려있다. 사진은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안내 문구와 제주마방목지 제주마관련 제주어 속담. /사진= 최대윤 기자
제주도는 애써 사투리 활용 사례를 애써 찾지 않아도 곳곳에 사투리 콘텐츠가 널려있다. 사진은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안내 문구와 제주마방목지 제주마관련 제주어 속담. /사진= 최대윤 기자

하지만 평범한 시는 아니다. 러시아의 시인 푸쉬킨의 시 '삶'은 "생활이(삶이) 아녁을(그대를) 쎅여도(속일지라도) 설루왕도 말고(슬퍼하거나) 부에내지도 말라(노여워하지 말라)"며 마을 주민을 위해 친절히 제주도 사투리로 써 놓았다.

제주도에서 가장 인상 깊은 사투리 콘텐츠는 버스정류장에 적어 놓은 △나릴때랑 미릇 '하차벨' 눌러 주곡(내릴 때는 미리 하차벨 눌러주고), 버스 세우민 뒷문으로 멩심허영 나립서양!(버스가 서면 뒷문으로 조심해서 내리세요) △교통카드는 버스에 올를 때도 찍곡(교통카드는 버스 탈때도 찍고), 나릴 때도 찍어사 헙니다양!(내릴 때도 찍어야 합니다) 안내문구였다.

제주에서 만난 제주도 사투리 안내판과 달리 표준어로 풀이도 없었지만 거제지역에선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라 마냥 신기하고 부러웠다.

올해부터 제주도는 사라져가는 방언을 지키기 위해 제4차 제주어 발전 기본 계획(2023∼2027년)을 수립하고 소멸 위기의 제주어 사용을 확산하기 위한 각종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란다.

또 내년엔 국립국어원과 제주어 디지털 전시관 구축을 준비 중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