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도시기본계획안 공청회, 지난 6일 열려
시민 삶의 질 높이는 구체적 계획 부재
인구 감소세인데도 2030년 기준 37만8000명
특색 있는 설계도 부재

거제의 미래를 담은 '2030 도시기본계획(안)'이 지역 특성도 살리지 못했을 뿐더러 현 세태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관광과 조선 산업 두 축을 중심으로 계획에 담았지만 '겉은 화려한데 속이 꽉 찬 계획이 없다'는 평이 나왔다.

시 도시계획과는 지난 6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2030년 거제 도시기본계획(안)' 수립을 위한 주민공청회를 열었다. 시가 이날 공개한 도시기본계획안에 따르면 거제의 도시 미래상을 세계 해양조선의 중심지이자 남해안 관광 중심지로 도약하겠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2030년 계획인구는 도시개발과 산업단지 조성 등에 따른 자연적 증가 3만7000명과 사회적 증가 7만명을 고려해 37만8000명으로 계획했다.

또 공간 구조는 '1도심(고현) 1부도심(옥포·아주) 3지역중심(거제·장목·하청·장승포·일운) 4생활권중심(사등·둔덕·동부·남부)'로 개편했다. 이에 따른 생활권은 기존 '1대생활권(거제 전역) 4중생활권(중앙·동부·남부·북부)'에서 서부생활권을 신설하고, 계획인구를 조정해 '1대생활권 5중생활권'으로 변경했다.

토지와 교통·환경보전 등 부문별 계획도 달라졌다. 토지이용계획은 도시관리계획과 시가화예정용지를 반영해 주거용지 13.362㎢, 상업용지 1.933㎢, 공업용지 8.317㎢, 관리용지 6.955㎢, 시가화예정용지 47.219㎢로 설정했다.

교통계획에는 복합 여객자동차 터미널, 화물터미널, 남부내륙철도 착공 등을 반영했다. 환경 보전과 관리계획은 '청정 해안과 어우러진 친환경 녹색도시 거제'를 주제로 이끌어나간다.

하지만 도시기본계획안에 거제만의 특색이 없을뿐더러 최근 경기침체에 따른 인구 감소와 골목상권 악화 등의 세태가 반영돼 있지 않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특히 이번 도시기본계획(안) 에서 2030년까지 13만여명이 증가할 것으로 보는 등 과도한 목표 인구를 설정한 것이 문제라고 제기됐다.

토론자로 참석한 김용운 거제시의원은 "거제는 역대 최악의 경제적 상황을 겪고 있고, 이전과는 전혀 다른 판이 전개되고 있는데 반영이 제대로 됐는지 의문"이라며 "기본계획을 설정하는 이유는 거제시민이 얼마나 어떻게 '행복하게 살 수 있나'가 전제가 돼 있어야 하는데 그러한 내용이 담아 있지 않은 점이 아쉽다"고 지적했다.

김종구 부산대 교수는 "거제하면 떠오르는 것은 대통령 탄생·양대 조선소·한려해상 국립공원 밖에 없다. 관광자원이 훌륭함에도 '체류형 관광지'로서의 인식이 더딘 것은 특색을 찾아내 마케팅을 못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도시기본계획은 지침일 뿐, 실행을 위한 단위사업 계획을 세우고 예산확보가 필연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시 도시계획과 관계자는 "이번 2030년 거제 도시기본계획(안)은 향후 시의회 의견 청취 이후 관계 기관과 부서 협의, 시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경남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된다"며 "이 과정에서 내용이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