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 산업은행 국정감사 지난 21일 열려
여야 국회의원 부실 집중 추궁…산은 역시 모르쇠

국회 정무위원회의 산업은행 국정감사에서 전·현직 대우조선해양 경영자들이 부실을 예측하지 못했다고 일관했다.

지난 21일 열린 국감에서 여야 의원들은 상반기 대우조선해양의 수조 원대 부실과 관련 전·현직 경영진과 최대주주인 KDB산업은행에 책임을 물었다. 특히 앞서 미리 손실을 반영한 현대중공업과 달리 올해 2분기 3조원에 달하는 영업손실을 발표한 이유를 집중 추궁했다.

박대동 새누리당 의원은 "지난해 경쟁사들이 대규모 적자를 낼 때 대우조선도 적자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느냐"고 대우조선 경영진을 추궁했고 박병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2014년 1월과 4월 이사회 속기록을 공개하며 "고재호 전 사장이 연임을 위해 부실을 감춘 것 아니냐"고 몰아붙였다.

김태환 새누리당 의원은 "대우조선이 2011년 9월부터 올 6월까지 총 110차례에 걸쳐 발주처인 노르웨이 송가오프쇼어와 설계 변경을 합의했는데도 발주처에 원가 상승 부담을 적극 요청하지 않아 1조 원대의 손실을 입었다"며 대우조선이 원가 상승에 대한 대처가 미흡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대우조선 정성립 사장, 고재호 전 사장 등 전·현직 최고경영자(CEO)들은 "부실을 예측하지 못했다"는 말만 되풀이 하며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고 전 사장은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을 비교하면 본격적으로 해양플랜트를 수주한 시점과 완공 시점이 6∼9개월 차이가 난다"며 "해양 산업의 특성상 손익 파악 시점이 늦어진 것"이라고 해명했다.

남상태 전 사장과 고 전 사장 시절 CFO를 지낸 김갑중 전 부사장도 "재직 당시 이런 부실이 나올 줄은 몰랐다"고 답했다.

경영진뿐 아니라 대우조선의 방만 경영을 방관한 산은의 책임에 대해서도 지적이 이어졌다. 과열되는 해외플랜트 경쟁 속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경영진도 문제지만 3조 원대의 손실을 숨겨온 대우조선이 2004년 이후 특별한 역할이 없는 60여 명의 고문·자문역을 선임해 총 100억 원가량의 급여를 지급하는 등 방만하게 경영했는데도 이를 방치한 산은의 책임도 크다는 것이다.

민병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산은으로부터 제출받은 '대우조선해양 자문·고문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04년부터 특별한 자문 실적도 없이 평균 8800만 원의 연봉을 받은 자문역이 무려 60명이었다. 자문역 중에는 산업은행 출신이 4명이나 됐다.

정치권 출신 인사를 사외이사에 앉힌 데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새정치민주연합 김기식 의원은 "2008년 이후 신규 임용된 사외이사 18명 중 12명이 정권과 관련 있는 낙하산 인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