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만 칼럼위원

▲ 조영만 우리가족부자만들기 강사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등의 새로운 정부가 2013년에 출범했다. 지속되는 경기침체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 경기회복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고 새로운 정부에 대한 기대가 커지는 것이 사실인데, 아직까지 뚜렷한 경기회복의 조짐이 나타나지 않고 있어 걱정이다.

과연 한국을 비롯해 세계정부들은 이 난관을 어떤 정책으로 어떻게 극복해 나갈까? 과거 5년을 주기로 바뀌는 정부의 교체시기에 따라 경제와 주식시장은 일정한 파동의 흐름을 보였다.

새로운 정부를 이끌어가는 대통령의 입장에서는 국민에게 가시적인 변화를 빨리 보여줘야 하는 부담감에 정부의 지출이 임기기간 중 가장 많아지게 되고 이는 어찌보면 지극히 당연한 현상일 수밖에 없다. 즉, 새로운 출발과 함께 수많은 정책들이 쏟아지기 시작한다는 의미이다.

1998년 김대중 정부는 벤쳐기업 육성정책을 집중적으로 펼쳐 단기간 IMF위기를 극복하는 경제회복의 가시적 성과를 보였지만 IT버블이라는 후유증을 크게 남겼고 최근 2008년 이명박 정부는 글로벌 주택시장 붕괴에 따른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집중적인 토목공사정책을 펼쳐 왔지만 아직도 그 실용성엔 큰 의문점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무엇이 옳고 그르고를 떠나서 앞으로도 새롭게 출범하는 정부는 글로벌 경제에 부합하는 정책을 계속 추진할 것이고 그 속에 숨은 함수를 반드시 찾아내고 읽어낼 수 있어야 한다.

보통 금융시장은 역대 대통령 집권 후 상승세를 보이다 2년 차에 고점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집권 초기에 공통적으로 경기부양정책과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경제 회복을 이끌어내고, 이는 결국 주가 상승의 촉매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단기적인 성장 드라이브 정책이 집권 후반기에는 임금 상승과 물가 상승 압력, 금리상승과 같은 후유증을 낳으면서 증시에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것은 주목해야 하는 대목이다.

즉 대통령 집권에서 2년 차까지는 주식시장에 긍정적, 집권 말기를 앞둔 1년은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2013년 50대의 열광적인 지원을 받으며 박근혜 정부가 출범했다.

만만치 않은 세계경제의 불확실성과 대외변수, 부동산 경기의 침체와 서민 경제의 침체라는 대내변수가 합쳐져서 만만치 않은 어려움이 있을 거라 전망된다.

이에 위기의 탈출을 위하여 정부는 강력한 성장 드라이브를 걸게 될 것이고 앞으로 쏟아지는 정책에서 가장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산업과 기업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

이후 경제와 주식시장은 또 다른 버블을 형성하면서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자.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