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가대교가 개통되면서 50여년간 시민들의 사랑을 받아왔던 45분 뱃길이 대신 사라지게도 됐다.

뱃길이 사랑을 받았던 것은 우선 부산까지의 거리를 1시간 이내로 좁힐 수 있었고 무엇보다 시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 거제와 부산을 오가는 대중버스가 그 자리를 대신해 줄 것으로 시민들은 기대하고 바랬다.

그러나 이같은 시민들의 기대와 바람을 외면하는 경남도와 부산시의 처신이 최근 나타나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

경남도와 부산시는 거가대교 개통과 발맞춰 고현, 장승포와 김해공항, 부산역을 오가는 직행버스의 도입을 논의해 왔다. 그런데 지난 2일 그 논의가 사실상 결렬됐다. 직행버스의 도입이 무산된 것이다.

경남도는 기존 직행버스로 이 구간을 운행하자는 입장이었고 부산시는 이로인한 도심 교통체증 등의 우려를 들며 이 구간만을 운행하는 한정노선 직행버스를 새로 도입하자는 입장이었던 모양이다. 어쨌든 시민들의 편리한 이동권에 대한 기대를 너무 쉽게 외면해 버렸다는 시민들의 따가운 지적에서 경남도와 부산시는 자유로울 수 없게 됐다.

이는 '버스 업체들의 이윤 보장' 등에 경남도와 부산시가 더 매달린 결과 아닌가라는 의구심을 지울 수가 없다. 경남도는 기존 직행버스업체의 반발을 주 이유로 들기도 했다. 부산시 역시 버스 업체의 입장을 무시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물론 이해는 간다. 그러나 제로섬 게임이 아니지 않은가? 경남도와 부산시가 얼마든 지혜를 발휘할 수 있다. 다수 시민들의 편리한 이동권 보장이라는 시민편익을 우선적 가치로 전제하고 버스업체들의 주장을 조율, 협의해갔다면 이렇게 무책임한 '무산'이라는 결과는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두 광역 지자체 정책담당자들에 대한 비난이 일고 있는 배경이다.

거제시민들은 한 발 나아가 시내 좌석버스의 부산 운행까지를 요구하고 있다. 대중들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게 그 이유다. 거제시는 개통 후 추이를 보며 의논하자고 일단은 보류시키고 있다. 그러나 언제든 제기될 문제임에 틀림없고 역시 부산시와의 합의가 전제되고 있다. 부산시가 응하지 않으면 이 또한 어렵다.

공공적 일에서 조차 다양한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매듭을 이루고 있는게 다반사다. 잘 풀어내는게 행정의 역할이다. 잘 풀어 내기위해서는 중심과 원칙을 세워야 한다. 다수 시민의 편익이 그것이다.

뱃길을 잃은 거제시민들의 편리한 이동권이라는 '시민 편익'을 경남도와 부산시는 다시 한번 깊이 생각해주기 바란다. 시내좌석 버스 문제도 마찬가지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