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배 본지 칼럼위원

아이들의 인성교육(人性敎育)이 문제가 되고 있다. 지난 번 어느 학교 중학생들이 졸업식을 마치고  '알몸 뒤풀이' 사건이 있어서 사람들을 놀라게 했을 때, 이명박 대통령은 라디오·인터넷 연설에서 "대통령인 저부터 회초리를 맞아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인성교육을 절감했기 때문일 것이다.

요즘 아이들을 보면 철부지부터 어른이 다되어가는 아이들까지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 뜻있는 이들로 하여금 걱정스럽게 하고 있다.

철부지들이 버스나 지하철 또는 대중음식점에서 손님들에게 귀찮을 정도로 헤집고 다니고 소란을 피어도 부모들은 못 본체 하는가 하면, 초·중·고생들은 남녀 가릴 것 없이 대중 앞에서 듣기 거북한 쌍스러운 말을 예사로 하고, 학생들 간에는 왕따나 금품갈취 폭력 등이 난무하고 있어 학부모들의 마음을 졸이게 하고 있다.

아이들 문제는 우리나라만의 걱정거리가 아닌 것 같다. 최근 미국의 어느 트위터(twitter)에 의하면 학생들의 활동을 감시하기 위해 감시카메라가 부착된 랩톱(laptop)을 교육청이 학생들에게 배부하여 문제가 되었다고 한다.

펜실베이니아(Pennsylvania)주의 필라델피아(Philadelphia)시 로워메리온(Lower Merion) 교육청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랩톱을 배부하여 비밀리에 학생뿐 아니라 그 가족들의 행동거지까지 살핀 사실이 들어나 학생들의 집단 소송으로 발전되었다고 하며, 해당 교육청은 학생들의 랩톱에 웹-카메라를 작동하는 소프트웨어가 부착된 것은 인정하면서 그러나 나쁘게 쓰인 것은 아니라고 부인하고 있다고 한다.

영국의 학부모들은 곧 아이들이 학교에서 좋지 못한 품행을 하면 그 부모가 벌금이나 징역형을 살아야 하는 엄격한 법을 도입하고자 하고 있다고 한다.

이 안(案)에는 부모들이 자식양육과정의 교육(parenting course)에 참여하고, 아이들이 잘못을 저질렀을 때는 부모가 1,700불의 벌금을 물든지 징역을 사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아이들의 행위로 인하여 벌금을 낼 수 없거나 그래서 감옥에 가야 하는 가난한 학부모들에게는 두려움이 될 것이라는 일부 비판도 있다고 한다.

위의 예들을 보면 대체로 부모나 가정에서의 아이들 양육책임을 강조하고 있는 인상이 깊다. 종래 아이들의 교육은 가정(부모)과 학교 그리고 사회가 삼위일체(三位一體)의 책임이 있다고 했다.

물론 부모는 그들의 자식이니까 책임이 있는 것이고, 학교는 아이들을 직접 가르치니까 그렇지만 아이들의 교육문제가 점점 사회화되면서 사회도 그 책임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관념도 이제 와서는 좀 낡은 생각인 것 같다.

농경사회(農耕社會)에서는 '가족 노동력'이 절대로 필요한 시대로서 우선 자식을 많이 나아야 하고 또한 그들을 잘 가르쳐야 했고, 산업사회 초기에는 자식들 공부만 잘 시키면 아이의 장래뿐 아니라 그 가정의 사회적 신분상승(身分上昇)도 가능했으니 아이의 양육은 부모나 가정에 그 책임의 비중이 높았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산업사회로 이행되고 요즘처럼 초고속 정보화 사회로 바뀌면서 자식은 부모에게 자산(資産)이 아니라 양육비나 교육비 등으로 오히려 부담이 되고 말았다. 그래서 가족제도는 대가족제도에서 핵가족제도로, 나아가 요즘은 독신주의가 만연될 정도로 가족이 해체되고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국가나 사회는 출산 저하로 인한 생산인력의 감소를 걱정하고, 또한 고령화 사회의 노령 층에 대한 복지부담의 과중을 우려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출산율 제고와 아이들의 양육은 부모나 가정보다 국가나 사회가 그 필요성을 더 절감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아이 때문에 부모가 매 맞아야 할 것이 아니라 대통령이 매 맞아야 하는 시대로 변해가고 있는 것이 아닐까.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