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언론의 자유가 넘쳐난다는 말을 많이 듣게 된다. 하지만 저널리즘의 붕괴 또는 미디어산업의 위기라는 말도 그만큼이나 많이 들을 수 있다. 수없이 많은 형태의 새로운 매체가 속속 등장하고 그들이 벌이는 끝없는 경쟁이 시장 질서를 파괴하고 있기 때문이다.

거제도 예외는 아니다. 온라인 매체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 자신들의 몫을 얻어내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 언론이 목숨처럼 지켜야할 정확성과 책임, 일관된 논조를 깔아 뭉게는 일도 허다하다. 결과적으로 지역 언론 전체가 수용자의 신뢰를 잃게 되는데도 말이다.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매체는 무차별적으로 뉴스를 양산한다. 속보경쟁이라는 매체의 특성상 다른 언론의 뉴스를 손쉽게 베껴 쓰는 행태가 빈번한 것이 거제지역 온라인 매체의 현실이다.

'지역 모 신문사에 따르면' 또는 '모 신문보도에 따르면' 등으로 시작된 뉴스는 처음부터 끝까지 타 언론의 기사를 그대로 옮긴다. 이러한 베껴쓰기는 다른 언론의 취재물에 대한 명백한 저작권 침해다. 온라인 매체들이 스스로의 저널리즘에 대해 지나치게 관대하거나 혹은 무지함으로써 일어난 일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어제 한 가지 사안을 두고 '오른쪽'이라고 쓴 기사가 온라인상에서 채 사라지기도 전에 같은 사안에 대해 '왼쪽'이라고 쓴 기사가 대문짝만하게 실리기도 한다. 하루아침에 같은 사안을 두고 다른 내용의 기사를 내 보내는 것이 그들의 뉴스전략이며 논조라고 한다면 딱히 할 말은 없다.

저잣거리의 상인에게도 그들만의 도리와 도덕이 있듯이 언론에도 언론의 도리와 도덕이 있다. 일관된 논조를 통해 명확한 논리를 펴 나가는 것보다, 타 매체의 기사를 일방적으로 매도하며 담합(cartel)을 통해 흠집 내기에만 몰두하는 것은 언론의 도를 저버린 행위다. 물론 이 역시도 그들의 뉴스전략이며 논조라고 한다면 딱히 할 말은 없다.

이 같은 온라인 매체의 행태는 제대로 된 게이트 키핑(Gate keeping·기사 작성에서 보도까지 몇 단계에 걸쳐 뉴스가 취사선택되는 과정)과정을 거치지 못한다는 점도 큰 몫을 차지한다. 잘못된 온라인저널리즘에 적절한 제동을 걸만한 뉴스룸도, 기자도 존재하고 있지 않아서다. 치열한 내부적 논의와 철저한 자기 검열과정이 생략될 수 밖에 없는 온라인 매체가 지니는 한계다.

일부 온라인 매체는 바이라인(기자 이름)이 없는 뉴스를 내보내기도 한다. 뉴스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시하지 않은 작성자 불명의 뉴스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는 얼굴과 영혼이 없는 뉴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언론에 대한 신뢰가 추락했다는 것은 언론이 사회적 책임을 질 수 없게 됐다는 말과 같다. 언론 교과서에 나오는 말대로라면 만원극장에서 "불이야"하고 소리를 질러서 극장을 쑥대밭으로 만드는 무책임과 다를 바가 없다.

온라인 매체라면 언론의 책임이나 권위, 또는 자유와 규범의 틀을 과감히(?) 벗어던져야만 타 언론사 보다 우월하다는 평판을 들으며 성공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지 묻고 싶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