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시장 주도권 '사수'…대형조선소 사업다각화·중소조선소 특정선종 모색

최근 조선업계의 화두는 이른바 '체질개선'이다. 대형조선소는 사업다각화, 중소조선소는 특화된 선종 공략을 통해 불황기를 극복할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말 국내 처음으로 호화여객선을 수주 내정한 삼성중공업은 크루즈선과 드릴십 등 해양플랜트를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외부에 CO₂를 배출하지 않는 화력발전설비 등 신사업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현대중은 지난해 조선부문 매출 비중이 사상 처음 30%대로 낮아진 대신 해양플랜트와 풍력발전 등 신사업 분야 매출은 꾸준히 늘고 있어 향후 안정적인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전망이다.

이런 '체질개선'과 '새로운 먹거리 찾기'는 필요해 보이지만 세계 조선시장의 주도권을 중국에 빼앗기지 않으려면 조선산업 경쟁력 역시 더 강화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삼성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중국이 넘볼 수 없는 친환경기술 등을 접목한 고부가가치 선박 개발에 앞장서려면 연구개발(R&D)투자를 줄여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정작 심각한 위기를 직면한 것은 중소조선소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대형조선소들은 사업 다각화를 통해 무난히 위기를 넘기겠지만 문제는 단기 금융지원으로도 생존 가능성이 희박한 중소조선소들" 이라고 말했다.

중소조선소들은 위기 해법도 대형조선소와는 다르다. 우선 수주물량을 받아놓고도 인도 연기, 잔금 납입 지연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업체들에겐 막힌 돈줄을 풀어주는 일이 시급하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패스트트랙(신속지원조치)에 들어간 중소선사는 제외하고 경영상태가 양호한 업체들의 숨통을 트는 쪽으로 이달 말 구체적 추가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야한다는 입장이다. 산은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생존 가능성이 있는 중소조선소는 인수합병 등으로 살리고 한계기업은 조속히 정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소형조선소를 수리조선소·선박블록공장이나 해양풍력·해양레저산업으로 업종 전환하도록 유도하겠다고 하지만 아직 실제 전환사례는 없다.

중소조선소 스스로 경쟁력 확보에 힘쓰는 것도 중요하다. 업계 관계자는 "중견 조선소의 경우엔 기업 기술능력에 맞는 특정선종에 집중해 살아남을 길을 찾아야 한다"고 충고했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