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형 新 새마을운동 '심심팔팔'①]심심한 우리 동네 관광지, 팔팔하게 살리기
부족한 거제지역 관광인프라 및 콘텐츠 찾아 1000만 관광 활력 충전

지역 인구의 약 70%가 직·간접적으로 조선산업 종사자인 거제지역은 조선산업 다음으로 수산업과 관광업으로 살아가는 도시다. 특히 거제는 천혜의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경남지역 제1의 관광지로 손꼽히며 1000만 관광객 유치를 꿈꾸고 있다. 그러나 거제지역의 관광은 단순 자연경관에만 치중한 관광산업이 대부분으로 늘 인프라 부족이라는 숙제를 안고 있다. 더구나 최근 몇년 동안 조선산업 침체로 고용위기지역에 지정된 거제시는 지난해와 올해까지 이어진 코로나19 여파로 관광객이 급감하며 조선산업 뿐만아니라 관광산업까지 위기에 몰리려 있어 적극적인 정책 및 관광콘텐츠 개발이 절실한 상태다.
이와 관련해 본지는 거제지역의 특색있는 마을과 거리를 발굴하고 재조명하는 등 지역의 특색있는 마을과 거리를 역사와 테마형 관광자원을 찾는 일에 함께 고민해보기로 했다. 기획취재는 지역의 관광산업 부활을 염원하며 거제지역의 마을과 거리를 국내·외의 특색있는 거리와 비교·분석하고 가능성 있는 콘텐츠를 찾아 거제지역의 실정에 맞게 비교·대입해보는 방식으로 풀어가려고 한다. 관광 콘텐츠 및 인프라 개발에는 적잖은 예산이 뒷받침돼야 실현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마침 올해 거제지역에는 다양한 국비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이번 기획 기사는 거제시가 진행 중 이거나 진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관광지를 취재 대상지로 선정하고 이와 접목할 수 있는 국내외의 관광지를 찾아 대안을 제시를 목적으로 한 기획기사를 6차례에 걸쳐 시리즈로 보도할 예정이다.  - 편집자 주

거가대교 이후 여객선터미널이 문을 닫자 장승포항은 '불꺼진 항구'로 불리고 있다.
거가대교 이후 여객선터미널이 문을 닫자 장승포항은 '불꺼진 항구'로 불리고 있다.

이번 기획 기사를 준비하는 편집회의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왔지만 공통된 의견은 '거제지역의 관광 인프라의 부족'과 '특색 또는 테마가 있는 관광지가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거제시는 조선산업 도시의 대명사 이기도 하지만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경남에서 가장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는 관광도시이기도 하다. 특히 거제 관광의 실태를 보면 예전에는 유명한 관광지였지만, 지금은 다른 지자체의 콘텐츠에 밀려 소외된 관광지나 장소가 많다.

거제면의 중심가는 전통시장과 사적으로 지정된 거제현관아 및 기성관이 있고 인근에는 향교·반곡서원·거제옥산성 등이 남아 있어 옛 정취를 느낄 수 있는 곳이지만 이런 특색을 살릴 만한 인프라 및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평가다.

도시재생 개발사업을 마무리중인 장승포항은 최근 장승포차의 개장 등 지역경기 활성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10년째 제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장승포여객선터미널의 활용방안은 답보 상태이며 이로 인한 지역 경기는 바닥 수준이다.

사진 왼쪽은 1970년대 후반 거제시 남부면 갈곶마을이며, 사진 오른쪽은 최근 갈곶마을 모습이다. 명승2호 해금강의 명성은 온데간데 없고 빈집만 늘고 있다.
사진 왼쪽은 1970년대 후반 거제시 남부면 갈곶마을이며, 사진 오른쪽은 최근 갈곶마을 모습이다. 명승2호 해금강의 명성은 온데간데 없고 빈집만 늘고 있다.

또 거제대교 완공 이후 여수와 부산을 오가던 여객선이 사라져 서서히 쇄락한 성포항은 70~80년대의 감성을 일으킬 만한 다양한 장소가 남아 있고, 노을이 아름답기로 유명하지만 마을을 대표할 관광지나 랜드마크와 테마가 부족해 보인다.

한때 거제지역은 물론 전국적으로 유명한 관광지였던 남부면 갈곶(해금강)마을은 명성에 비해 가장 심각한 쇄락의 길을 걷고 있는 곳이다.

국내 항공편이 발달하지 않았던 60~70년대 경주시와 버금가는 신혼여행지로 각광 받았던 갈곶마을은 80년대까지 명승2호 해금강의 유명세에 호황을 누렸다. 하지만 현재 마을 대부분의 상가는 문을 닫는 등 슬럼가를 연상하게 할만큼 쇄락한 상태다.

갈곶마을은 여객터미널·명승2호 해금강·우제봉전망대·동백숲·200면이 넘는 주차면 등 적잖은 인프라가 구축돼 있음에도 별다른 특색이 없는 곳이다.

여기다 마을 입구에 해당하는 도장포 지역의 바람의언덕이 관광객에게 사랑을 받으면서 굳이 관광객들은 갈곶마을까지 발걸음을 옮기지 않는다.

여수와 부산을 오가던 관광객으로 북적이던 성포항도 80년대 이후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
여수와 부산을 오가던 관광객으로 북적이던 성포항도 80년대 이후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

심심한 거제, 발품 팔아 팔팔하게 살려보세

이와 관련해 본지는 거제지역의 특색있는 거리 및 마을을 만들기 위해 우리나라 각 지역의 선진 사례와 운영실태 등을 배우기 위해 발품을 아끼지 않을 생각이다. 이번 기획은 70년대 새마을운동이 당시 상대적으로 낙후된 농촌지역을 개선하고 개발하는 사업이었다는 점에서 착안했다.

옛 명성을 잃어가는 거제지역 관광지를 살리기 위해 밴치마킹할 첫번째 지역은 강원도 동해의 묵호항이다. 70∼80년대 오징어와 명태잡이로 항구 가득 어선과 어부들로 북적이던 묵호항은 오징어 어획량의 감소로 점점 쇠락의 길을 걸어 왔으나 최근 감성관광지로 자리매김하면서 전국의 수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다.

두 번째 목적지는 예부터 수학여행으로 유명한 경주다. 하지만 '수학여행지 경주'는 이미 옛말이 됐다. 최근 경주지역에서 관광객에게 가장 많이 사랑받고 있는 곳은 황리단길이다. 경주시 황남동 포석로 일대의 '황남 큰길'로 불리던 이곳은 전통한옥 스타일의 카페나 식당이 밀집해 있는데 '황리단길'이라는 이름은 황남동과 이태원의 경리단길을 합쳐진 단어로 "황남동의 경리단길" 이라는 뜻이다.

문화유적과 인근 관광자원 접근성이 뛰어난 거제면 지역의 발전은 더디기만 하다.
문화유적과 인근 관광자원 접근성이 뛰어난 거제면 지역의 발전은 더디기만 하다.

황리단길은 1960-70년대의 낡은 건물 등이 그대로 보존돼 있어 옛정취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거리로 인근의 첨성대·대릉원 등 관광지를 함께 둘러볼 수 있어 새로운 경주의 명소로 자리매김 했다.

세 번째 목적지는 '색(色)' 하나로 세계 100대 관광명소에 이름을 올린 퍼플섬 신안군 반월도와 박지도다.  신안군 반월도와 박지도가 어떻게 '색' 하나로 세계적 관광자원으로 발전했는지에 대한 비결을 알아보고 거제지역에 적용할 관광지를 모색할 생각이다.

마지막으로 둘러볼 곳은 우리나라 대표 관광지인 '제주도'다. 제주도 취재에서는 선흘곶 동백동산·까멜리아힐·제주조천스위스마을을 둘러볼 계힉이다. 제주도 취재는 거제에도 많은 동백나무를 테마로 한 관광과 펜션촌, 시장 골목에 대한 관광테마를 알아보기 위해서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