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3】 공영 유료주차장 운영, 이대로 괜찮은가?
공영 유료주차장 문제 해결책과 타 지자체 운영사례 비교

전북 정읍·충북 충주·울산 등 하이패스로 주차요금 결제해
일본 오키나와현 경우 대부분 자동화 결제시스템 완비

▲ 관광지 중심으로 무료주차장을 운영하는 오키나와현은 나하시내의 일부 주차장만 민간위탁과 직접운영 방식을 취하고 있다. 사진은 나하시내의 민간에서 위탁을 받고 운영하는 공영주차장. 주차부지에 차가 들어서면 60초 후 잠금장치가 발동해 주차비납부를 의무화하고 있다. 사진제공 <(주)오키나와달인>

거제시 공영유료주차장이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일자리 제공이라는 본래 취지에 맞게 운영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거제시는 공영유료주차장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민간위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공익사업이 돼야 한다는 생각으로 장애인단체 5곳에 제한경쟁입찰을 준다.

하지만 공영유료주차장의 운영이 공익성보다 수익성에 중심을 두면서, 공영유료주차장 주차관리원들이 열악한 근로조건에 내몰리고 만다.

공영유료주차장 주차관리원들은 인원을 보충해주길 바란다. 이들은 민간위탁 계약서에 적절한 인원을 명시하고 그만한 인원을 고용하도록 수익보장을 해달라고 호소한다.

그렇지만 예산이 한정돼 있으므로 충분히 인원을 늘리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공영유료주차장 주차관리원을 많이 늘리기 어렵다면 주차장 운영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바꾸는 방법도 있다.

전북 정읍시는 2012년부터 공영유료주차장 기능개선사업을 벌여 주차관리원들의 업무 부담을 크게 줄였다. 현금만 내야했던 주차요금을 신용카드와 하이패스로도 할 수 있도록 바꾼 것이다.

달라진 운영시스템 덕분에 주차관리원은 이용객이 주차요금을 제대로 결제하도록 도와주기만 하면 된다. 주차관리원과 이용객 간의 마찰도 크게 줄었다. 주차관리원은 물론이고 이용객의 만족도 역시 높아졌다.

정읍시 관계자는 "주차요금을 내지 않거나 적게 내려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라 이에 대한 감정노동이 주차관리원 업무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며 "주차관리원을 늘리지 않고도 업무강도를 낮출 수 있고 시민들의 반응도 좋다"고 말했다.

이러한 형태의 공영유료주차장 운영시스템은 울산과 충북 충주시 등에서도 적용되고 있다. 주차관리원의 가장 중요한 업무가 주차비 징수가 아니라, 시민의 재산과 안전을 책임지는데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공영유료주차장에 대한 시민의식이 높은 일본은 주차관리원이 이용객과 대화할 일이 많지 않다. 사시사철 관광객이 밀려드는 일본 오키나와현은 직영으로 공영유료주차장을 운영하는데 모든 주차장에 자동화 시스템을 완비했다.

주차장에 차가 들어오면 센서가 인식해 1분이 지나면 요금을 내야 빠져나갈 수 있다. 주차부터 요금 납부까지 운전자가 직접 하므로 주차관리원의 업무량이 많지 않다. 주차관리원은 주차시스템이 오작동하거나 경차 및 전기자동차의 주차요금을 할인해주는 일을 주로 한다.

이에 대해 거제시 교통행정과 관계자는 "거제지역 도심 교통상황의 특수성 때문에 도로변에 공영유료주차장을 운영해야하므로 이용객과 주차관리원과의 마찰이 생겨나기도 한다"며 "자동주차 시스템을 도입한 국내외 성공사례를 살펴보고 거제지역에 도입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