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부 거제향토사연구소장

김의부 거제향토사연구소장
고인돌(支石墓·지석묘·dolmen)은 한국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양식을 말한다. 북유럽·서유럽·지중해연안·북아프리카·서남아시아 일대의 신석기시대 묘제로 분포하나 한국의 고인돌과 직접적인 문화적 관계는 없는 듯하다. 중국 랴오닝성과 산둥반도, 일본 규슈에도 분포하나 한국과는 비교되지 않을만큼 미미하다.

고인돌은 크게 나눠 지상에 4면을 판석으로 막아 묘실을 설치한 뒤 그 위에 상석을 올린 형식과, 지하에 묘실을 만들어 그 위에 상석을 놓고 돌을 괴는 형식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대체로 한반도 중부 이북지방에 집중돼 있고 후자는 중부 이남 지방에서 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에 이들을 각각 북방식 고인돌과 남방식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이밖에도 지하에 묘실을 만들었으나 남방식 고인돌과는 달리 돌을 괴지않고 묘실 위에 상석을 바로 올린 고인돌도 있는데, 이를 개석식 혹은 변형 고인돌이라고 한다.

고인돌의 연구에서는 지하의 묘실 구조와 축조방법을 중시하는데 연구자에 따라 약간의 견해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이렇게 북방식·남방식·개석식 등의 3종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북한 학계는 고인돌에는 한 구역안에 2~3기의 고인돌을 나란히 세우고 상석 높이까지 돌을 덮어 묘역을 구성한 형식의 고인돌과 전형적인 북방식 고인돌의 두 유형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들을 각각 침촌리형과 오덕형 고인돌로 부르며 전자가 시기적으로 더 이르다고 본다.

고인돌 각 형식 간의 시간적 관계에 대해서는 크게 북방식이 앞선다는 설과 남방식이 앞선다는 설이 있으나, 시간적 관계 판단에 필요한 유물이 워낙 미미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단언하기 힘들다. 고인돌이 만들어진 시점에 대해서도 아직 의견이 일치되지 않고 있다.

혹자는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치를 근거로 신석기시대에 이미 고인돌이 사용됐다고 주장하기도 하고 기원전 8~7세기 이전에 시작됐다거나 아무리 이르게 봐도 기원전 5세기를 넘을 수 없다는 주장 등을 해 이견이 분분하다. 그러나 고인돌이 마지막으로 사용된 시기에 대해서는 대체로 초기 철기시대의 대표적인 묘제인 움무덤(土壙墓)이 등장하기 이전인 기원전 2세기 경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인돌이 만들어진 문화적 연원에 대해서도 역시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는데, 지하에 설치된 돌널무덤(석관묘)이 지상화되어 고인돌로 발전했다는 자생설, 만주지방에 분포한 대석붕(大石棚)의 영향을 받아 발생했다는 설, 남아시아의 거석문화(巨石文化)의 유입으로 발생했다는 설 등이 있다.

고인돌은 제주도를 포함해 전국에 분포하나, 황해도·전라도에 가장 밀집돼 있으며 한 곳에 수백기의 고인돌이 군을 이뤄 분포한 경우도 있다.

북방식 고인돌은 한강이남 지역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데 전라북도 고창에서 발견된 북방식 고인돌이 최남단의 것이다. 남방식 고인돌은 전라도 지역에 밀집 분포하며 경상도와 충청도 등 한강이남 지역에서도 많이 보인다.

일본 규슈지방에 분포하는 고인돌은 조몬(繩文)시대 말기에서 야요이(邇生)시대 초기에 걸쳐 등장하는데, 그것들이 한국계 유물과 함께 발견되고 있어 일본 야요이 문화가 한국에서 건너간 사람들에 의해 형성됐음을 암시한다.

거제시에는 아주동 2개소, 능포동 1개소, 마전동 1개소, 수양동 2개소, 일운면 7개소, 동부면 3개소, 남부면 11개소, 둔덕면 3개소, 사등면 7개소, 연초면 15개소, 하청면 5개소, 장목면 7개소 등 71개소의 고인돌을 보유하고 있다.

이 고인돌은 남방식으로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으로 매우 중요한 역사적인 유물인데도 사등면 청곡리 고인돌은 행정에서 관리하고 있어 원형을 보존하고 있으나 타 지역의 고인돌은 많이 훼손됐거나 훼손 위기에 처한 입장이다. 지금이라도 우리의 문화재를 보호하는 운동이 일어나 영구히 보존됐으면 한다.

거제도의 고인돌의 분포지역을 보면 대략 사등·둔덕지역(삼곡 왜호 학산 술역), 일운지역(옥림 소동 지세포 구조라 내도패총), 연초·하청지역(이수도 하청 중리 대촌 오비 도봉골 이목 송정), 그 외 거제·동부지역(남산패총)과 남부면 다대지역(다대)으로 작은 집단촉락으로 구성돼 있었다고 추정해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