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화합 다지고 액운 날려보내는 '지신밟기' 등 정월대보름 세시풍속 다양하게 전해져

정월대보름에는 마을마다 주민 화합을 다지고, 액운을 날려 보내기 위해 지신밟기 등을 연다. 마을 앞산에 둥글게 떠오르는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빌어보는 정월대보름에는 다양한 세시풍속이 전해 내려온다.

◇ 보름 쇠기
"설은 나가서 쇠어도 보름은 집에서 쇠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설에도 제 집에 와서 명절을 쇠야 하지만 정월대보름은 반드시 집에 돌아와서 쇠어야 한다는 의식이 강하다. 그래서 어부들은 출어한 뒤에도 보름날에는 바다에서 지내기 않으려고 하는 전통이 있다.

◇ 귀밝이 술

◇ 귀밝이 술◇ 귀밝이 술정월보름날 귀가 밝아서 잘 듣게 된다고 남녀노소가 조반 전에 모두 술을 조금씩 마신다. 이 술을 대부분 '귀밝이 술'이라 하고, 줄여서 '귀밝기'라고도 한다,

◇ 보름밥
정월보름날 아침에 쌀, 보리, 조, 수수, 팥 따위를 넣어서 밥을 지어먹는다. 이 밥은 대체로 데우지 않고 찬밥 그대로 먹는다. 콩을 뺀 농사 지은 곡식을 모두 넣어서 짓기 때문에 '농사밥'이라고도 한다.

◇ 복쌈
정월보름날 아침 보름밥을 먹을 때 첫 술을 말려서 삶은 아주까리 잎, 머구잎 등에 싸서 먹는 것을 말한다, 요즘에는 아주까리 잎, 머구잎 대신 김을 많이 쓴다. 이렇게 쌈을 싸서 먹으면 그 해에 복이 들어오고, 농사가 잘 돼 집에 나락(벼)섬이 많이 들어온다고 전해지고 있다.

◇ 백가반(百家飯)
아이들이 체나 조리에 성이 각기 다른 세 집의 보름밥을 한 술씩 얻어서 두 손으로 받혀 디딜방아의 동으로 난 가향이나 절구통에 앉아서 개에서 한 숟가락 주고 자기도 한 숟가락 먹는다. 이렇게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한다. 이것은 백가반(百家飯)의 유습인데 현재는 체에 얻어 온다고 '쳇밥', 조리에 얻어 온다고 '조릿밥' 혹은 '복밥'이라 한다.

◇ 볏가릿대
정월보름날 길이 두 발쯤의 장대 끝에 짚단으로 깃봉 모양을 만들어 마당에 세운 뒤, 새끼줄을 늘여 놓았다고 한다. 새끼 길이만큼 벼이삭이 길어지라는 소원이 담겨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볏가릿대(禾竿) 혹은 유지방이라 하는데 거제에서는 이것을 '육구맹이' 또는 '낟가리'라고 한다. 하청면 어온리 장곶마을은 50여년 전까지 이것을 세웠다고 한다.

◇ 개 보름 쇠기

◇ 개 보름 쇠기◇ 개 보름 쇠기보름날에는 개에게 밥을 주지 않는다. 밥을 주면 개에게 비리 오른다고 한다. 그래서 '개 보름 새기' '정월 보름 개 복 같은 복'이란 속담이 생겼다. 달이 뜨면 그때서야 '개 비리 씰자. 개 비리 씰자'라고 하면서 빗자루로 개의 등을 쓴 뒤에 개에게 밥을 준다.

◇ 허새비 버리기
제웅을 거제에서 '허새비'라 한다. 그 해 신수가 나쁜 사람(일반적으로 삼재가 든 사람)이 짚으로 사람 형상의 제웅을 만들어 양팔, 머리, 몸 등에 동전을 넣어 피륙이나 종이로 옷을 입혀 거기에 신수 나쁜 사람의 성명과 생년월일 간지를 써넣어 세 갈래 길에 버린다.

◇ 연 날려보내기
연은 겨울부터 정월보름까지 띄우고 정월보름날이 지나면 날리지 않는다. 보름 지나고 연을 띄우면 '상놈'이라고 욕한다. 보름날 연에 이름과 나이를 써 높이 띄운 다음 타래에 있는 실을 끊어 바람에 날려보내기도 하고, 줄 끝에 불을 붙여 날려보내기도 한다. 그럴 때에 자기 이름, 생년월일시를 쓰기도 하고, '송액(送厄)'이라고 쓰기도 한다. 액을 띄어 보내는 것이므로 멀리 날아가면 좋다는 설이 내려온다.

◇ 달집 태우기
정월보름날 오후에 마을의 청소년들이 나뭇가지를 모아서 달이 뜰 때 불을 지르고 노는 풍습이다. 주로 동산 위 빈터, 타작 마당, 시냇가, 갯가 등에서 잎이 붙어 있는 소나무 가지들을 양쪽에서 서로 기대어 세우는데, 대나무를 함께 넣기도 한다. 달집은 달이 뜨는 것을 볼 수 있게 가운데를 비게 하는데 이것을 '달문'이라 일컫는다.

달이 떠서 달문에 보이면 불을 지르고 '달집에 불이야'라고 외치며 꽹과리와 북을 치며 주위를 돈다. 달집에 불을 지르면 재수가 좋고 아들 낳는다고 술을 한턱 내고 불을 지르려는 사람도 있다. 달집이 탈 때에 절을 하여 소원 성취와 가내 태평을 빌기도 한다. 자기 몸의 잡귀를 쫓는다고 거의 다 탄 달집 위를 뛰어넘기도 한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