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투자증권거제지점 김용근선임차장

11월초 실시되는 미국 대선에서 구제법안이 새로운 이슈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공화 - 민주당간에 7000억달러의 구제법안을 두고 갈등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구제법안 효과에 대한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동시에 나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미국 역사상 최대규모인 이번 구제법안은 미국 금융위기의 중대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일부의 지적처럼 막대한 공적자금 투입이 미국 금융시장 안정에 어느 정도 기여할지 여부는 당분가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단기적으로 공적자금 투입 결정이 미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자금경색 현상 완화에 기여할 수 있을지는 다소 의문시 되고 있음은 분명하다.

글로벌 신용위기 확산 추세로 미국내 신용위기보다 국내 신용위기를 더욱 걱정해야 할 상황에 이르고 있다. 미국은 구제법안 등으로 어쩌면 신용위기가 큰 흐름에서 가닥을 잡아가고 있지만 국내 신용위기가 지금부터 본격화되고 있는 양상이기 때문이다.

국내 신용리스크의 척도로 삼고 있는 각종 신용스프레드가 지난 9월초, 즉 금융대란설 이후 최고조에 이르렀던 시점보다 높은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환율급등의 주요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외화수급 여건,즉 달러 공급부족 현상은 앞서 언급한 글로벌 자금경색과 자금보수화 경향으로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해외은행들의 리스크 관리 혹은 자구노력 등으로 국내은행의 해외차입선이 막히고 국내의 해외은행들의 외화대출도 크게 위축되면서 달러화 고갈 현상이 상당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이러한 외화수급 불안은 환율급등과 금리상승으로 이어지면서 국내의 신용리스크를 높이고 있다.

특히, 정부의 각종 대책에도 불구하고 환율상승세가 이어지면서 키코(KIKO)로 대변되는 중소기업들이 환차손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중소기업의 부도리스크를 높여주고 있다. 

더욱이 가용외환보유액이 낮다는 소식도 환투기를 강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국내 환율 불안 현상 지속의 또 다른 요인으로 지적받고 있다.

환율상승과 더불어 금리상승 역시 국내 신용리스크의 주된 촉매제이다. 국고채 3년물 금리가 6%를 다시 넘어서고 8월 중순이후 횡보세를 보이던 CD금리 역시 지난주 이틀 연속하면서 자금시장의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

문제는 아직까지 그 가능성을 낮게 평가하지만 국내 신용경색 리스크 확산과 이에 따라 국내 자금의 보수화 현상으로 금융권의 손실이 확대되면서 국내 금융시장과 경기가 악순환에 빠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데 있다. 결국 이러한 추세는 트리플(주가, 원화, 채권)의 약세현상의 장기화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9월초 금융대란을 넘겼지만 미국발 신용위기의 전염효과와 국내의 레버리지 투자 후유증, 즉 디레버리지(Deleverage) 과정으로 국내 금융상황이 위기국면으로 전이될지 여부를 당분간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