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수 거제신문 서울지사장
김철수 거제신문 서울지사장

중국에서 시작된 코로나19 발생 4개월 만에 지구촌 곳곳을 강타하는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번졌다.

코로나19가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시작됐고 중국내 창궐을 거쳐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코로나19가 미국·유럽 등지로 급속히 확산돼 팬데믹이 선언됐지만, 중국은 국내 상황이 호전되자 '중국 발원론·중국 책임론'에서 벗어나기 위한 프레임 전환에 나섰다.

고위 지도자들은 중국이 '희생'을 감수하면서 인류공통의 위기에 공헌했다고 주장하면서 한국이나 일본·이탈리아·이란 등에 대해선 '경험' 전수와 지원을 통해 국면 전환을 꾀한다.

세계적 국가를 지향하는 중국의 태도는 자충수가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일단 중국은 초기대응 미흡에 대한 인정에 인색했다. 의사 리원량(李文亮)의 경고는 유언비어가 돼 '훈계'를 받았고, 2003년 사스라는 대전염병을 겪었음에도 적절한 대응체계를 여전히 수립하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초기에 이를 알리고 경보를 발하지 않으므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 세계로 확산하는데 그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가까운 우리나라가 직격탄을 맞았고 첫 피해 국가 그룹에 속한다. 이탈리아 등은 확진자와 사망자 수가 세계에서 제일 많다. 영국은 찰스 황태자와 현직 총리가 확진자로 발표됐고 스페인도 공주가 코로나19로 사망하는 등 세계에서 3번째로 확진자가 많다고 한다.

세계 최고의 국가라고 자타가 공인하는 미국에서도 감염 확산 우려가 커지면서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팬데믹이라는 말 그대로 글로벌 현상인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국민의 협조와 이해뿐 아니라 국가 간 긴밀한 공조가 절실한 시점이다. 그런데 이 와중에도 남 탓과 자화자찬을 늘어놓는 각국정부와 리더들 때문에 환자들과 의료진,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는 시민들의 불쾌감도 커지고 있다.

팬데믹은 아직 진행형이라 예단은 금물이다. 성찰적 논의를 통해서 개선점을 찾아야 한다. 다른 나라보다 앞서 경험한 중국과 우리나라를 살펴보자. 중국은 아예 도시자체를 봉쇄했고 중앙정부가 나서서 강압적으로 확산을 저지했다. 인권이나 사생활은 부차적 문제였다.

우리나라도 중국만큼 극단적이진 않지만 확진자 신상과 동선을 낱낱이 공개하며 접촉자를 추적한다. 또 학생들의 개학도 늦추고, 사회적 거리두기로 확진자 확산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생산·소비·투자가 급격하게 동반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코로나19가 공중보건위생 차원을 뛰어넘어 글로벌 경제위기를 초래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바이러스의 자국 침투 및 확산 방지를 명분으로 많은 국가가 자국내 주민 이동제한은 물론 국경봉쇄 조치를 하면서 경제적 손실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외 주요 연구기관도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잇달아 하향조정하고 있으니 1% 성장조차 가능할지 걱정스럽다. 수출 의존도가 특별히 높은 우리의 경제구조상 치명적인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제는 바이러스 경제라는 새로운 위기상황을 맞고 있다.

사태 초기, 항공과 여행업계에 국한됐던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이 글로벌 공급망과 가치사슬 체계속에서 사실상 거의 모든 산업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중이다. 재택근무가 권고되고 외출과 소비 활동을 자제하다보니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이 체감하는 경기는 폐업을 우려할 정도로 공황수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반적인 경제 여건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심각한 위기 국면에 봉착해 있다는 분석들이 줄을 잇고 있으니 경제 전반에 걸친 위기감의 정도를 짐작할 수 있다.

이에 우리는 물론 미국 등 각국 중앙은행들이 발빠르게 금리인하 등 선제적 차원의 조치들을 취하고 나섰다. 현재의 급작스런 경기 침체 징후는 유동성의 문제라기보다는 상상을 초월하는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한 충격과 공포로 인해 경제 활동 자체가 위축되고 있다는 근본원인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은 정부의 역할이 더 긴요하다. 바이러스가 더는 전파되지 않도록 방역활동을 강화하는 게 일차 과제임은 물론이다. 세계적 찬사를 받는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 같은 혁신적인 방역체계를 개발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나아가 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서야한다. 가계를 대신해 소비성 지출을 늘리고 기업 활동의 제약으로 실직 위기에 놓인 근로자들과 폐업을 걱정하는 소상공인·자영업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정책을 정교하게 설계해야한다. 과거 우리 경제가 대외적인 충격에 취약했다는 경험칙에 비춰볼 때 주요교역국들과 예방차원의 경제 및 금융 협력을 강화하는 데도 힘써야 한다.

정부의 역할 못지않게 여타 사회 구성원 모두의 협력과 노력도 절실하다. 지금은 '팬데믹' 뿐만 아니라 '패닉'이 더 심각한 바이러스 경제위기 상황이다. 신속한 해결책을 마련하는데 새로운 접근과 함께 국내외적인 지혜와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