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봉준 거붕백병원 소아청소년과 과장
정봉준 거붕백병원 소아청소년과 과장

미디어와 환경호르몬 등의 영향으로 성조숙증 환아가 증가하고 있다.

성조숙증이 온 아이는 사춘기가 빨리 온 만큼 키도 빨리 자라고 또래 친구들보다 빠른 신체적 변화로 인해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을 뿐만 아니라 최종 성인 키는 오히려 더 작아진다.

성조숙증이라 함은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샘의 활성화로 성호르몬이 증가돼 여아는 8세 미만, 남아는 9세 미만에서 2차 성징이 시작되는 것을 말한다.

여아가 남아보다 10배 이상 흔하며, 여아에서는 90% 정도가 특발성인 반면에 남아에서는 75%에서 중추신경계 이상이 발견된다. 여기서 감별해야 할 것은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샘의 활성화 없이 유방만 커지거나 음모만 자라는 등 2차 성징을 보이는 가성 성조숙증이다.

진단으로는 오른 손잡이의 경우 좌측수부 및 수근골 X선 사진을 촬영해 골연령을 측정하고 확진검사로 GnRH 자극 검사를 실시한다. 이 검사에서 골연령이 역연령보다 빠르고 LH 측 정치가 5IU/L 이상이면 성조숙증이라 진단할 수 있다. 다만 2차 성징이 나타나나 사춘기 진행이 느리고 기질적 질환이 없고, 예측 성인키가 작지 않은 경우에는 GnRH 검사를 보류하고 3∼6개월 간격으로 키의 성장과 사춘기의 진행 상태를 관찰할 수도 있다.

가성 성조숙증을 감별하기 위해서 뇌 병변이 의심되는 병력이나 이학적 검사 소견이 있을 때는 Brain MRI나 부신이나 난소 자궁 등의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고, 갑상선 질환이나 부신피질호르몬 등도 확인이 필요하다.

성조숙증은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시기가 제한된 만큼 조기에 발견하여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는 4주에 한번(약제에 따라서는 3개월에 한번) 성선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 유도체(사춘기 억제제)를 투여한다. 그러면 사춘기에 따른 신체 변화가 없어지거나 빨리 진행하지 않으며 뼈 나이의 진행도 느려진다.

이러한 치료를 시작한지 20여년이 지났지만 주사부위 동통이나 부종, 안면 홍조나 두통 등 가벼운 부작용 외의 큰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치료기간은 사춘기 연령(여아 만 11~12세·남아 만 12~13세)까지를 목표로 하되 정기적인 평가를 함께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약을 끊으면 다시 사춘기에 따른 신체 변화가 진행되는데, 호르몬 수치는 평균 6개월 이내에 사춘기 형태로 돌아가며 여아에서는 치료 종료 후 12-18개월 사이에 초경이 시작하게 된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