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까지만 해도 봄이 되면, 춘궁기(春窮飢)라 해서 먹을 양식이 없어서 굶어 죽는 사람이 많았다.

이 때가 벼농사를 지어 겨울을 지내고 나면 양식은 떨어지고 보리가 익을 때까지 지낼 양식이 없어서 살아나기 가장 어려울 때였다. 이 시기를 '보릿고개'라고 했고, 양식이 없어서 굶주리며 사는 시기라 해서 춘궁기(春窮飢)란 말이 생겼다.

보릿고개가 얼마나 멀고 험한 길인지 그때 살았던 사람이 아니면 모른다. 굶어 죽느냐 사느냐 하는 생존의 시기를 넘기던, 배고픈 고개다. 이 고개가 가장 넘기 힘든 시기였다.

이 시기의 가장 중요한 일이 보리농사였다. 보리농사를 잘 짓기 위해서는 광파재배를 해 겨울부터 초봄까지 보리가 말라 죽지않게 보리밭에 물을 줬다. 이때 공무원들이 동원돼 물동이를 이용해서 보리밭에 물을 줬다.

당시는 겨울에 비가 오지 않아서 물도 귀했다. 시냇가에 웅덩이를 파서 양철통에 물을 담아 와서 보리밭에 물을 뿌렸다. 그 당시 공무원은 그야말로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 헌신하는 봉사자였다.

위 사진의 물을 주고 있는 이곳은 그때 거제군청 앞에 있는 논이다. 현재의 고현출장소 앞. 이때는 고현지역에 고현파출소 인근 도로변에 주택이 띄엄띄엄 있었고, 그 외 지역은 대부분 논·밭으로 돼 있었다.

이때는 사람의 인력으로만 농사를 지었다. 소로 논·밭을 갈고 비료는 산과 들에서 풀을 베어 와서 퇴비로 사용했다. 당시는 농사철만 되면 공무원들은 논·밭으로 나가서 농사일을 도왔다. '새마을사업'이 시작되면서 공무원들은 더 열심히 나서서 농민들을 도왔고, 새마을운동 문화를 보급하는데 앞장섰다.

사진은 당시 새마을 깃발을 세운 공무원들이 거제군청 앞 보리밭에서 새마을모자를 깊게 눌러쓰고 보리밭에 물을 뿌리고 있다.

그 당시 공무원들은 낮에는 새마을 사업지도와 농촌 계몽사업 지도자로 일을 하고 밤에 사무실에서 늦도록 업무를 봤었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