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귀식 새장승포교회 목사
민귀식 새장승포교회 목사

20세기 우리 민족사에 있어서 가장 치욕스러운 사건은 바로 1910년 8월22일과 29일에 있었던 대한제국의 내각총리대신 이완용과 제3대 한국통감이었던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형식적인 회의를 거쳐 합병조약을 통과시킴으로 인해 대한제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된 날입니다. 이 날을 사람들은 경술국치(庚戌國恥)의 날이라고 합니다.

1904년 2월 한일의정서, 동년 8월 제1차 한일협약, 1905년 11월 제2차 한일협약, 1907년 7월 한일 신협약 등을 거치며 일본은 1909년 7월6일 내각 전체회의에서 조선을 병탄(倂呑)하겠다는 방침을 세우고 일본 국왕의 재가를 받게 됩니다. 그리고 1909년 7월12일 기유각서를 통해 대한제국의 사법권과 교도행정에 관한 모든 업무를 넘겨받게 되고 이로 인해서 일본은 대한제국의 국권을 제외한 나머지의 모든 정치적 권력을 강탈하게 됩니다.

이제 남은 것은 국권을 찬탈하는 일만 남아 있었습니다. 당시 일본은 조선인들의 반발을 최소한 무마시키기 위해 시간을 끌었습니다. 1909년 만주 하얼빈에서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사건과 이완용이 애국청년 이재명의 습격으로 중상을 당해 집무가 불가능한 상태에 빠지게 되자, 시간을 더 넘겨 원로 대신들을 다 연금한 상태에서 통감부를 통한 일반경찰권까지 확보해 1910년 8월29일 한일합방을 국내에 발표하게 됩니다. 이로써 대한제국은 국권을 상실한 채 일본의 식민지가 됩니다.

그 이후 조선은 일본 제국주의자들에 의해 처참하게 짓밟히게 됩니다. 1910년대는 조선총독부에 의한 무자비한 탄압과 함께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를 완전히 박탈당한 채 무단정치를 통해, 1920년대는 친일파 양성을 통한 민족 분열책동과 함께 문화정치를 통해, 1930년대는 내선일체(內鮮一體)를 강조하면서 황국신민화 정책과 더불어 조선어를 금지시키고 조선이름을 사용하지 못하게 함으로 민족말살정책을 시도하면서 우리나라를 짓밟은 나라가 바로 일본 제국주의자들 입니다.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만주에 주둔하고 있었던 731부대의 비 인륜적인 만행이나 난징대학살사건을 비롯해 태평양전쟁 시 전쟁수행을 위해 여성들을 강제 동원, 종군위안부로 활동하게 한 정신대(挺身隊)에 이르기까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만행을 저지르고도 공개 사과는커녕 계속 발뺌만 하고 있습니다. 이런 일본인들의 만행과 범죄에 대해 대한민국 사람은 용서는 하되 결코 그들의 만행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기독교 성지인 예루살렘에 가면 홀로코스트 기념관 야드 바쉠이 있습니다. 이 기념관 안에는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스 독일에 의해 학살된 유대인 600만명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당시 독일의 최고 지도자가 된 총통 히틀러의 개인적인 감정도 한 목 했다는 설도 없잖아 있습니다. 히틀러가 어린 시절, 그의 어머니가 아주 돈 많고 유능한 유대인과 눈이 맞아 아버지와 자신을 남겨두고 도망을 가게 된 사건이 있었는데 유대인에 대한 그 원한 때문에 대학살을 자행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또 하나 총통 히틀러의 어린시절 꿈은 훌륭한 화가가 되는 것이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히틀러가 그 꿈을 성취하기 위해 미술대학에 입학하고자 시험을 보게 되는데 그 시험에서 떨어지게 됩니다. 그때 일곱 명의 감독관이 있었는데 그 중에 다섯 명이 유대인이었다는 것입니다. 그 유대인 감독들이 자신을 떨어트리고 자신의 꿈을 짓밟았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 개인적인 감정도 한몫 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유가 무엇이던 이런 극악무도한 만행은 더이상 없어야 할 것입니다. 이런 민족적 불행과 아픔을 경험하게 된 유대인들은 자신의 땅을 되찾아 새롭게 나라를 세운 후 가장 핵심적인 자리에 홀로코스트 기념관을 짓고 과거의 아픔에 대해 용서는 하되 잊지 않으려는 노력을 계속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힘이 약해 일본 제국주의로부터 짓밟힘을 당하며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수치와 억압과 고통과 핍박을 당하다가 해방을 맞이하게 된 지 73년이 됐습니다. 대한민국 국민은 우리 민족에게 큰 아픔과 씻을 수 없는 한을 품게 했던 일본의 만행을 용서는 하되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우리가 잊어버리고 방탕한 삶을 사는 순간 또다시 우리에게 씻을 수 없는 불행이 찾아온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야만 할 것입니다.

 - 광복 73주년을 맞이하면서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