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수 거제신문 서울지사장
김철수 거제신문 서울지사장

최근 일기예보에서 빠질 수없는 항목이 늘었다. 미세먼지 농도예보다. 일상생활과 직결되는 미세먼지 농도예보는 '좋음·보통·나쁨·매우 나쁨'으로 나뉜다.

'나쁨'이나 '매우 나쁨'이 예보될 때는 바깥출입 시 필수장비인 특수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또 노약자는 외출을 자제하라고 한다. 건강한 사람도 바깥출입 시는 기분이 찝찝하기 마련이다.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공포로 촉발된 공기에 대한 관심은 공기의 질 전반에 관심으로 넓어졌다. 공기의 질을 관리하는 것이 새로운 경제활동이 됐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2010년 발표에서 "실내공기 질 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20%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간 400억-2500억 달러의 이익을 낼 수 있다"고 했다.

실제로 구글의 21개 건물에 실내공기 질을 관리하는 '애클리마'라는 회사는 회의실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회의를 중단토록 한다. 공기의 질이 업무 생산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미국 하버대의 조지프 앨런 교수는 2016년 의미 있는 실험을 했다. 다양한 직종의 전문직업인 24명을 대상으로 공기 상태를 통제할 수 있는 사무실에서 6일 동안 일하게 하면서 여러 실험을 했다. 실내공기의 질에 따라 피 실험자의 인지기능 점수가 160% 이상 차이가 난다는 결과를 얻었다.

지적능력의 영역별 차이를 보면, 정보를 수집하고 적용하는 '정보 활용 능력' 점수는 299%까지 차이가 났고, 계획하고 전략을 세우는 '기획 전략 능력' 부문에서는 288%까지 차이를 보였다. 이는  공기 질이 좋은 환경에서는 더 현명한 결정을 내리고 생산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국내에서도 높은 생산성을 요구하는 두뇌 집단에서 공기 질 관리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한 인터넷 포털회사는 신사옥으로 이전할 때 직원들의 요구에 의해 실내공기 질 개선 작업을 했고, 최근 새로 조성된 서울 00지구의 연구단지에서는 회사들이 입주 이전에 공기 질 개선 작업을 하는 것이 필수가 됐다.

기업 매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사례도 있다. 서울 외곽의 대규모 아울렛에서는 매출액과 내방객의 체류 시간이 서로 비례관계를 보인다. 내방객이 오래 매장에 머물면서 쇼핑도 하고 식사도하면서 돈을 쓰도록 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쇼핑객의 피로감을 최소화해야 한다.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1500ppm을 넘으면 고객은 피로해지기 시작하고 체류시간을 줄이는 경향이 있다. 쾌적한 쇼핑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1000ppm 이하로 낮추고 산소 농도를 21%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미세먼지 농도도 35㎍/㎥ 이하로 줄여야 한다.

그런데 이는 매우 힘들 뿐만 아니라 막대한 비용이 든다. 이 회사는 문제 해결을 위해 '공기 경영'을 도입했다고 한다. 공기의 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장비를  매장 곳곳에 설치하고 공기 상태에 따라 환기 설비를 자동화 작동하도록 관리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환기에 따른 막대한 양의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한 번 교체에 수억 원의 큰 비용이 드는 공기필터의 교체주기를 3배로 연장할 수 있었다.

쾌적한 공기상태를 유지하는 것만으로 업무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또 비용도 적게 들뿐 아니라 건강을 챙길 수 있다는 점에서 '공기 경영'이 앞으로 각광받을 것으로 보인다.
기업뿐만이 아니라 가정에서도 마찬가지다. 미세먼지가 '나쁨' 또는 '매우 나쁨'으로 나타나는 날에는 창문을 꼭꼭 닫고 지내야 하는 데 이런 경우 공기청정기를 가동 시켜서 환기를 해야 한다.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릴수록 공기 청정기 판매량이 늘어나기 마련이다. 또한 미세먼지에 대비해서 외출 시는 마스크 착용을 생활화 하고 외출 후 귀가 시에는 손 세정제나 비누로 손이나 얼굴을 깨끗이 씻는 위생관리가 필수적이다.

국가적 차원에서도 미세먼지의 원인이 되는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는 에너지 정책과 미세먼지 재료가 되는 오염물질, 미세먼지 생성 반응을 일으키는 산화제 사용 등을 규제하는 정책을 펴 나가야 한다. 이제 공기의 질 관리는 일상의 생활과 직결되는 심각한 문제다.

맑은 공기를 폐부 깊숙이 들여 마실 수 있는 환경, 청정지역을 꿈꾸는 것은 오늘을 사는 우리 모두의 꿈이 아닐까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