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절된 지식인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친일파 김윤식(金允植·1835~1922)이 죽었을 때 박영호 등 그들 동지들은 사회장(社會葬)으로 치르자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나라를 망치게 한 사람을 어찌 사회장으로 할 수 있느냐며 반대여론도 비등했다. 회의 도중에 어느 사람이 김윤식을 가리켜 '그 개 같은 놈'이라는 극언을 해 장례위원들을 놀라게 했다. 아무리 그래도 고인에게 그런 표현을 할 수 있느냐며 들고 일어나자 가만히 듣고 있던 월남 이상재(月南 李商在) 선생이 한마디 했다. "그래도 대접을 한 셈이지" "아니, 개라고 한 것이 어찌 대접이란 말입니까?"하고 따지자 "그래도 개는 주인을 알아보거든" 김윤식의 주인은 일본이었음을 빗대어 한 말이다.

개는 야생동물 가운데 가장 먼저 가축화되었다. 개가 주인을 알아본다는 것은 그만큼 오랫동안 같이 생활하면서 친숙해졌기 때문이다. 생물학적으로 개는 늑대의 변종이다. DNA 분석기법이 연구되기 전에는 개의 기원에 대해 다양한 주장이 있어왔으나. 이제는 개와 늑대는 같은 아종(亞種)으로 보는 데는 별 무리가 없다. 늑대가 개로 길들여지기까지 동화 같은 스토리텔링이 있다.

먼 옛날 늑대 한 마리가 사냥꾼을 따라다니기 시작한다. 늑대는 사냥꾼이 잡은 사냥감을 처리하고 남은 고기를 먹는 것이 훨씬 편하고 좋았다. 늑대가 사냥꾼 옆을 맴돌다보니 점점 서로 친해졌고, 사냥을 할 때마다 늑대도 함께 나섰다. 사냥의 부산물 때문이었다. 그렇게 오랜 시간이 지난 후 늑대는 서서히 그 본성을 잃고 개로 변신하게 된다.

인류가 개를 길들여지는 시기는 1만5000∼3만년 전이라고 추정은 하지만 가축화되는 것은 이보다 늦다. 사람과 개가 함께 나오는 선사시대 암각화로는 8천 년 전의 것이 가장 오래되었는데, 이번에 사우디에서 9000여년 전 목줄 맨 사냥개 그림이 발견되었다. 이로써 개의 가축화 역사는 천년을 더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

때마침 올해가 무술년 개띠해라 더 의미로운 소식이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