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성 본지 대표이사

대한민국 광화문 광장이 뜨겁다. 매주 토요일이면 태극기와 촛불이 맞붙는다. 대권주자들은 보수와 진보를 이야기하며 여론몰이에 나선다. 진실은 어디로 가고 온통 나라가 보수와 진보의 난투장이다.

광화문 집회를 지켜보던 작은아들놈이 보수와 진보에 대해 물었다. 잠시 대화를 멈추고 예전에 큰 아들놈과 읽었던 김용신의 '보수와 진보의 정신분석'이라는 책을 찾아 건네며 이야기를 계속했다.

단순히 한자의 뜻으로만 보면 보수(保守)는 '보호하다. 지킨다'는 의미이며 진보(進步)는 '앞으로 나아간다'는 의미다. '보수'는 우리의 무의식속에서 변화에 대한 반대의 의미로 , 진보는 변화를 향한 긍정의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서구사회에서 발달해온 보수와 급진(혹은 혁명)세력간의 논쟁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의미를 배제한 채 한국어로만 설명되면서 생긴 언어적 혼돈이기도 하다.

예로 FTA를 반대해야 할 보수는 개방을 찬성하고 FTA를 찬성해야 할 진보는 반대하는, 보수와 진보의 사전적 의미와 사뭇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언어적 뉘앙스 때문에 개방에 찬성하는 보수는 압력에 굴복한 비급한 세력으로 매도되고 진보는 국제적 변화에 합리적 대응을 외면한 잘못된 국수주의로 낙인찍혀 양분된다.

한국사회의 정치적 이슈에 따라 보수와 진보의 틀에 가둬버려 반대를 위한 반대의 모습은 정당정치의 모순으로 보수는 가진 자, 내려놓지 않으려는 부자, 기성세대로, 진보는 친북론자, 사회개혁론자, 가난한 자, 젊은세대 등으로 양분화해 정치적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가치관을 정립시키고 도와야 할 학교교육은 더욱 심각하다. 최첨단의 기술과 문화를 가르치고 다원화 된 사회의 다양성의 인정을 가르친다. 그러나 정작 사회이슈 문제에 있어서는 인문학적인 고찰도 없이 보수와 진보의 양분된 생각만을 학생들에게 강요한다.

오늘 필자는 이 땅의 젊은이들이 양분된 절름발이 가치관이 형성되지 않도록 아들, 딸을 둔 아버지들에게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이 땅의 정당정치는 이념정치가가 아니다. 자신들만의 당리(堂梨)만을 위해 찬반을 선택한다. 언론매체는 그들의 정치적 주장을 양분화해 복잡하고 애매하게 만든다. 이는 국민들의 정책적 선택기준을 어렵게 하고, 명쾌하지 않은 구별을 근거로 상대방을 비방하는 반대를 위한 반대만을 양산함으로써 국론분열과 국가적 에너지를 소진시킨다.

이제 우리는 진보와 보수만의 틀을 깨야한다. 경제성장 우선을 강조하면 성장주의자로, 그리고 분배 우선권을 강조하면 분배주의자로, 또 세계화에 찬성하면 세계화 찬성론자로, 반대하면 반 세계화론자로 나눠 부르면 된다.

문화면에서도 외래문화의 개발을 주장하면 문화 개방주의자, 그리고 반대하면 반(反) 문화개방론자라 하면 되고, 대북정책에서도 햇볕정책을 강조하면 햇볕정책론자, 반대하면 상호주의론자라 하면 된다.

외교정책면에서는 한·미동맹을 강조하면 한미동맹 강조론자, 그리고 민족의 자주성을 강조하면 민족 자주론자라면 된다. 변화의 속도를 강조하면 급진적 변화론자, 점진적 변화를 주장하면 점진적 변화론자로 부르면 되는 것이다.

굳이 억지논리로 세대 모든 정책을 보수와 진보로 구분한 필요가 없다. 한국의 정당구조처럼 억지로 보수와 진보의 양 진영을 대변할 필요가 없다.

중도보수(中道保守)니 중도진보(中道進步)니, 합리적 보수 혹은 건전한 진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그 틀 속에 넣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는 국민을 더 어리둥절하게 만들어 놓을 뿐이다. 결국 자신들의 권력승계를 위한 정치놀음이다.

이제라도 정치하는 자들이 자기들의 이익을 위해 보수와 진보의 틀 안에서 국민을 우롱하지 않았으면 한다.

나의 조국, 대한민국이 보수와 진보의 논쟁에서 벗어나길 바란다. 내 아들놈과 같은 이 땅의 젊은이들이 보수와 진보의 개념을 혼동하지 않기를 바란다. 기성세대에 물들어 반대를 위한 반대에 세뇌되고, 젊은시절 그들의 진취적인 기상을 진보만으로 혼돈하지 않기를 바란다.

보수와 진보의 틀속에서 그들의 생각이 편협되고 고착화될까 두렵다. 지금 이 혼돈의 대한민국은 우리가 만들어 놓은 것이다. 후회가 무슨 소용있겠는가만은 한 번쯤 내 아들·딸을 위해 그들과 진지하게 보수와 진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