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 육순기념으로 4박5일 일정으로 가족들과 서울에서 거제로 왔던 이은경씨(가명·52)는 여행이 시작되고 이틀 만에 다시 짐을 꾸려 돌아갔다.

맛집 사이트에서 검색했던 동부면 한 일식집에서 식사를 한 이들은 다음달 새벽 5명의 일행 중 4살배기 아기를 뺀 4명 모두가 구토와 설사증세로 응급실로 직행했다. 처방전 병명은 모두 급성위장염이었다.

하지만 약을 투여받을 수 없었던 임신 6개월의 임산부 딸에 대한 걱정으로 결국 여행을 접었다. 그리고 식중독을 의심하며 거제보건소와 거제시청에 신고를 했고, 영업장에도 사실을 알렸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보건소와 시청직원·식당주인의 불성실한 말투는 이씨 가족을 불편하게 했다.

"식중독 여부를 떠나 마치 블랙컨슈머를 대하듯 하는 말투에 몸이 힘들면서도 너무 화가 났다"고 말을 시작한 그녀는 "가족여행을 준비하면서 계획했던 모든 즐거운 상상들과 재미를 잔인한 추억으로 만들어 놓고는 '보험 들어놨으니 알아서 하라'는 식으로 응대한다는 것은 좀 심하지 않느냐"고 항변했다.

덧붙여 그는 "먹거리에 믿음을 가지고 거제를 다시 찾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라는 말을 남겼다.

지난 2일 식품안전정보포털(식품의약품안전처) 통계에 의하면 2011~2015년 총 1429건의 식중독 사고로 3만1568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장소별로는 식당이 758건으로 가장 많았다.

식중독사고는 대형업소이든 소규모 업소이든 식당 규모와는 관계가 없다. 방심한 식재료로 요리한 음식이 있다면 누가 먹고 탈이 날지 아무도 모른다. 문제는 진정 식중독을 의심하는 시민들이나 관광객들을 싸잡아 블랙컨슈머 취급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다 같이 식사했는데 왜 손님만 아프냐는 식'의 개인적인 면역차이를 무시한 듯 한 발언, 반성의 기미도 없이 보험처리만 해주면 그만이라는 업주의 표현, 피해발생 후 환자가 당국에 피해신고 해도 담당자의 '증거타령'과 '식중독으로 나올 확률은 10%로도 판명 안된다'는 식의 반응은 이들이 위생에 정말 관심이 있는지에 대한 불신만을 키울 수 있다.

이에 대해 거제시보건소 정기만 소장은 "경상도말투로 인한 오해는 있을 수 있지만 한명의 신고도 허투루 여기지 않는다"면서 "보건소는 지난 5월부터 9월까지를 비상방역 근무기간으로 정하고 비상연락망 체계를 갖추고 있다. 접수된 신고에 대해 철저히 조사를 진행한다"고 강조했다.

거제시 관계자 역시 "신고가 들어오면 위생검사나 조사를 나가게 된다. 하지만 사전에 시민감시단인 식품위생감시원들과 더불어 관광지 지역을 일일이 지도점검 한다"며 "한 건의 식중독 사고도 일어나지 않도록 위생·안전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