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원 칼럼위원

▲ 윤성원 거제불교거사림 2기 학생회장
내가 잘 할 수 있다는 확성기 소리도 이젠 봄의 새싹처럼 자기자리에 왔다. "온통 내가 진실이다"라고 말하던 때는 이제 끝났다. 사람은 아집과 독선으로 자신만 진실이라고 믿고 이는 괴로움으로 이어진다. 또 괴로움은 단순한 감각이 아닌 근원적인 고뇌이자 실존적인 불안이라는 것을 모른다.

사람은 이러한 괴로움을 본래부터 갖고 있다. 사람은 괴로움 앞에 그저 나약하기 만한 존재가 아니라 우리 스스로 괴로움의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과 능력을 갖고 있다. 진실이 내 것만 존재 한다는 생각은 아집이다.

생각을 행동으로 하면 아집과 독선을 버리게 되고 타인 속의 나, 내 개인과 사회 사람들과 애정이 생길 것이다. 이것이 부처님 자비 사상으로 귀결되며 이 자비 사상이야말로 헛된 마음을 고요한 생각으로 돌아 올 것이다.

헛된 사회임을 모르고 잘못의 냄새를 풍기는 사람은 모두가 더불어 있다는 존재의 실상을 깨달아 남의 것도 진실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자신은 진실이고 남은 헛된 생각을 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사람의 세계에서 가장 사람답지 못할 때는 '나'라는 생각에 빠져 번뇌와 이기심으로 살아갈 때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스스로가 무엇인지 모르고, 우리가 생각 하는 일에도 무엇을 하는지 모른다.

존재하는 것은 오직 공(空)일 뿐이다. 이런 뜻을 알지 못하고 나라는 생각에 빠져 번뇌를 만들고 이기적으로 살아가는 삶이 많으니 그것이 바로 헛된 생각이라 부처님이 말씀하신다.

우리가 살고 있는 시간과 현상은 항상 변화를 거듭하고 있어서 정지된 상태가 아니라 무상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무상한 현상에 갖가지 명분을 내세워 물거품 같은 아집만 일삼는 것은 아닐까.

번뇌의 본질과 삶에 의미를 알아보지 않는다. 불교에서 국가관이나 인생관 자체의 본질을 공(空)에 두고 있다. 공이란 것은 바로 실체가 없다는 부처님 말씀이다. 진실은 변함이 없지만 욕심이란 것은 영원히 변하지 않거나 멸하지 않는다.

우리는 아직 까지 어리석기 때문에 세상이라는 달콤함에 홀려 자신이 영원히 간직할 것처럼 어떤 것에 매달리고 아집하고 근심을 도맡아 행동하고 있다.

부처님의 공(空)이란 무조건 아무것도 없으니 집착할 것이 없고 모든 것은 항상 변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상하다하신다. 자기가 최고라고 하는 확성기 소리의 주인공도 현실을 바로 이해하고 깨달아야 한다.

진실로 주위를 바라보면 분명히 하늘이 보일 것이다. 하늘로 올라가보면 하늘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없을 것 이고, 하늘에서 보면 온통 하늘이라 하늘과 하늘 아닌 것의 경계가 없을 뿐만 아니라 하늘이라는 그 개념조차도 분명하지가 않아서 하늘이 없을 것이다.

본래 생각한 하늘은 형상이지만 원래 하늘은 빈 공간이라 진실은 그 공간조차 없다는 것이다. 참으로 아름다운 말이지만 아름답다는 개념조차 없다는 게 공(空)의 진실이다. 진실을 억지로 찾지 말고 지금하고 있는 형상이 나에게 진실일수 있다는 것이다.

진실의 자비심을 일으켜 선심으로 공의 세계에 이끌리게 해야한다. '거품이 물이고, 물이 파도이며, 또한 물이 얼음이요, 빙산이 곤 물이다.'라는 말과 같이 본래의 진실된 성질을 그대로 드러내어 생각하고 행동하면 행동이 바뀌게 된다. 하지만 우리 모두 마음에 불성이 있어서 공(空)의 세계를 깨달을 수 있는 능력은 잠재 돼 있다고 할지라도 탐에 흐려진 불성은 아무것도 볼 수 없을 것이다.

이제 결정 되었지만 확성기에 소리 내어 진실이라고 표현하고 마음으로 약속한 것은 꼭 지켜야 한다. 하늘에서 본 하늘, 물에서 나온 거품 이야기는 진실을 나타내는 말이니 이런 부처님 가르침을 상기해야 약속을 지킬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