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민 칼럼위원

▲ 이용민 경남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대구에서 열리는 '아시아 오케스트라 심포지엄'에 발제자로 다녀왔다. 내가 맡은 섹션은 '오케스트라의 발전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이었는데, 결론을 말하자면 나는 오케스트라의 설립과 운영 그리고 프로그램 등에 있어 지금보다 훨씬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주로 이야기 했다. 반면 대구 지역 인사들의 내용은 주로 대구시립교향악단에 국한돼 운영과 지원방식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런 자리에 발제자로 초대되면 응당히 주최 측의 고민이나 이해관계에 관심을 가지고 지원사격도 좀 해주고 와야 한다. 또 처가가 대구인 나는 좀 더 애정을 가져보려 노력했다. 행사 진행이나 준비가 철저하다는 느낌을 받았고 대구시민회관의 음향이 매우 훌륭해 리모델링이 성공적으로 진행된 것에 마음속으로 박수를 보내줬다.

4년 전에도 이런 비슷한 주제로 대구를 다녀 온 적이 있었는데 사뭇 달라진 것이 하나 있었다. 그 때는 대구 경기가 아주 나쁠 때여서인지 문제의 인식을 '대구가 너무 보수적이고 배타적이어서 문제'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번엔 '이런 보수적이고 고집스런 대구의 특징을 특화시켜 나가자'라는 주장이었다.

물론 이런 주장을 단순화 할 순 없다. 많은 고민들이 행간에 숨어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대구 경기나 아파트 가격의 급격한 상승 등은 분명 전체적으로 대구를 고무시키고 있음이 분명해 보였다. 원인이야 어떻든 경기가 부양돼 형편이 나아진 사람들이 있다면 좋은 일이다. 나는 단지 '같은 진단을 상황에 따라 다르게 처방할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을 잠깐 해봤다.

이임학(1922~2005)이라는 천재 수학자가 있었단다. 미래창조과학부가 광복 70주년을 맞아 과학기술 성과 70개를 선정했는데 거기에 이임학이 소개되고 있다. 이임학은 자신의 이름을 딴 '리군이론'으로 세계수학사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이다. 그럼에도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까닭은 이승만 정부와의 불편한 관계로 인해 유학시절 국적을 박탈당하고 40년간 고국으로 돌아 올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임학은 함흥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수학에 재능이 있고 손재주가 많았던 그는 1939년 경성제대 예과에 입학했고 본과에선 물리학을 공부했다. 일본인들의 전유물이었던 기초학문을 하게 된 것은 조선인 학생으로는 보기 드문 선택이었다.

학창시절 수학천재로 전설과 같은 인물이었던 그는 1946년 경성제대를 이은 국립 서울대학교에 수학과 교수로 임용됐지만 '국대안 파동'에 휘말려 얼마 후 학교를 그만뒀다. 그는 당시 분위기에 대해 "새 학술잡지와 도서가 들어오지 않았다. 대학에서는 사람들이 정치싸움에만 바쁘고 학문과 대학을 돌보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이 시기에 이임학은 천재성을 발휘한다. 1947년 남대문시장을 지나다 쓰레기더미에서 우연히 미국 수학회지 'Bulletin of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를 발견했다. 잡지에는 당시 세계적 수학자였던 막스 초른의 논문이 실려 있었는데, 이임학은 초른의 논문에서 "모르겠다"고 밝힌 부분을 풀어내 잡지의 편집인에게 편지를 보냈다. 이임학이 보낸 편지는 1949년 미국 수학학회지에 공식 논문으로 실렸다. 이임학의 생애 첫 논문이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인 최초로 해외 저명학술지에 실린 논문이었다. 이임학의 이후 행적은 긴 소설과 같다. 불가피한 상황 속에서 고국을 등지고 돌아오고 싶을 땐 고국으로부터 배척당한다. 캐나다 여권으로 둘러본 북한여행은 본인의 개인사정 같은 것은 살펴지질 않고 방북 자체만으로 간첩 취급을 당한다.

이임학을 보며 윤이상을 떠올렸다. 1917년 태어났으니 윤이상이 다섯 살 나이가 많은 셈이다. 이들은 같은 시대 힘없고 불안정한 고국을 운명처럼 안고 태어났다. 분야는 다르지만 천재적인 명석함을 지녔고 오랜 외국생활을 통해 고국을 객관시 할 수 있었을 것이다. 정권의 입장에선 그것이 불편했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일까. 국가와 개인이 벌이는 이 소모전은 아직 끝나 보이지 않는다.

2017년은 윤이상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2018년은 레너드 번스타인이 태어난지 100주년 되는 해인데, 해외의 어느 출판사에서 인쇄한 100주년을 맞는 세계적인 음악 프로모션용 기념엽서에는 윤이상과 번스타인의 초상이 같이 그려져 있다. 번스타인에는 열광하며 윤이상에겐 끝까지 외면하는 100주년이 되어선 안 될 것이다. 역사는 자유롭게 말해져야 한다. 그 속에 지엄함이 있는 것이다.

내가 대구에선 느낀 '다른 두 대구'가 정말 다를까?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