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을 전후해 급락한 이후 정체 상태를 보이던 우리나라의 저축률이 17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3일 정부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1분기 총저축률은 36.5%로 상승했다. 지난해 1분기(35.0%)보다 1.5%포인트, 전분기(34.7%)보다 1.8%포인트 높았다.

분기별로는 1998년 3분기(37.2%) 이후 연도별 1분기 기준으로는 1998년 1분기(40.6%) 이후 17년 만에 최고치다. 총저축률은 국민총처분가능소득(GNDI)에서 최종 소비지출을 뺀 값(총저축액)을 GNDI로 나눠 산출한다. 따라서 쓸 수 있는 소득 가운데 안 쓰고 남은 소득의 비율을 의미한다.

올 1분기의 상승은 최근 연간 흐름의 연장선상에 있다. 연간 총저축률은 2012년 34.2%에서 2013년 34.3%, 지난해 34.7%로 2년 연속 상승해 2004년(35.5%)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았다.

총저축률은 1988년 41.7%를 고점으로 내리막을 걸었다. 2000년 이후에는 35%를 넘은 적이 드물었다. 1990년 이후로는 2002년의 31.8%가 최저점이다. 지난 10년간 저점은 2008~2009년의 각 32.9%였다.

총저축률은 가계(비영리단체 포함)와 기업을 더한 '민간'과 '정부'의 저축률을 합친 수치인데, 최근의 상승은 기업보다는 가계가 주도했다.

연간 기준으로 큰 흐름을 보면 민간은 지난해 27.8%로 2년째 상승하며 1998년(28.9%)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그 중 기업은 최근 몇 년간 21% 안팎에서 정체했지만 가계는 2012~2014년에 5.4%, 6.3%, 7.1%로 3년째 올랐다. 정부는 3년째 하락세다. 2007년 10.8%를 끝으로 10%를 밑돌기 시작해 2012~2014년 7.6%, 7.3%, 6.9%로 내리막길을 걸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에는 가계저축률이 정부저축률을 앞질렀다. 1999년 이후 처음이다. 정부저축률 하락은 연금지출 증가와 재정 악화 때문으로, 가계저축률 상승은 소비 위축의 영향으로 각각 평가된다. 세계 금융위기 이후 나타난 저성장·저소비 흐름이 저출산·고령화 흐름에 맞물려 길어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