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하(何)씨 성을 가진 남자가 나이 60이 되도록 장가를 못 갔다. 몸이 허약하여 남자 구실을 못했기 때문이다. 하루는 어떤 풀을 보니 한 덩굴에서 난 두 줄기가 서로 감았다가 풀었다 하면서 엉켜 있는 것이 마치 음양의 교합처럼 보였다. 그래서 그 뿌리를 캐어 볕에 바싹 말린 후 가루를 내어 술에 타서 7일을 마시자 남자의 정력이 살아났고, 100일이 지나자 검은 머리가 나기 시작했다. 그 후 하씨는 장가를 가 여러 명의 아들을 낳고 130세까지 살았다. 그 풀을 하수오, 즉 하(何)씨의 머리(首)가 까마귀(烏)처럼 검어졌다는 뜻으로 불렀다.

하수오는 속명(俗名)이고 본명은 '야교등(夜交藤)'이다. 하수오 줄기가 마치 밤(夜)에 등나무(藤)처럼 엉킨 부부의 성관계(交)와 빗대어 붙여진 이름이다. 머리가 검어질 만큼 정력에 좋다는 하수오는 불행하게 우리나라 야생에서는 나지 않고 중국이 원산이다.

통칭 사람들은 하수오에는 적(赤)하수오와 백(白)하수오가 있다고 말하는데 이런 분류 자체가 잘못된 것이다. 머리를 검게 한다고 전해지는 하수오는 적하수오로 마디풀과이고, 백하수오는 박주가릿과의 토종식물인 은조롱 뿌리를 말한다. 따라서 이 둘은 엄연히 다른 식물이다.

그런데 동의보감에 하수오라는 명칭이 약재의 이름으로 등재되어 있으니까 우리 것이라고 여길 수 있지만 설명을 보면 하수오를 강원도에서는 '은조롱'으로 부른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은조롱 뿌리의 겉과 속이 하얗기 때문에 붉은 빛을 띠는 적하수오와 구별하여 백하수로로 부르다가 백수오를 굳어졌다.

백수오는 조선시대 널리 사용되었던 전통약재인데 근래에 와 여성의 갱년기와 폐경기에 좋다는 건강식품의 원료로 백수오를 사용하자 중·장년층 여성들의 소비가 급증하여 홈쇼핑은 난리가 났고, 단일품목으로는 드물게 천여억 원 이상의 매상을 올렸다.

그런데 알고 보니 전문가가 아니면 은조롱 뿌리와 구별이 어려운 '이엽우피소'라는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중국산을 대량 수입하여 사용했다가 사단이 나고 말았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