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원 칼럼위원

▲ 윤성원 거제불교거사림 2기 학생회장
어려운 일이 생기면 우리는 누군가가 도와주기를 기대합니다.

하지만 남의 힘을 빌리면 그 일은 완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주위를 생각하며 또 다른 도움을 바라고 기다리는 것이 우리의 생리입니다. 부처님은 우리의 생각을 사리에 의미를 담아 남기고 본성의 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내가 만들고 내가 생각하는 행동은 샘물과 같아서 아무리 많이 써도 마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사회의 힘은 얼마가지 않아 고갈되어 또 힘 있는 곳을 기다리는 본성이 깨어나게 될 것입니다. 이때 부처님의 사리 본성을 생각하면 힘이 샘물처럼 솟구쳐 영원할 것입니다.

사람들에게 직접 참구(參究·참선하며 진리를 탐구함)하여 스스로 얻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주체(能)도 없고 객체(所)도 없으며 고요하면서도 밝게 비추는 무념무상의 신령스런 지각(靈知·영지)이자 순수하고 진실한 마음자리(純眞心體·순진심체)가 될 것입니다.

부처님의 사리는 몸으로 바른 행동을, 말로는 바른 말을 하는 것입니다. 선정(禪定)은 그냥 마음을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마음을 진리에 안주를 시키는 일입니다.

진리를 인격적으로 표현하신 영원적인 부처님에게 우리 마음을 통일시켜야 참다운 선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냥 이것저것 생각하고 몰두하는 것은 삼매(三昧)선정이라고 하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불교의 지혜는 반야(般若)입니다. 불교의 참 지혜인 반야는 무엇인가. 이것은 사리(事理)를 바로 본다는 말입니다.

사회 중생은 번뇌에 어두워서 사리의 의미를 바로 보지 못합니다. 자신의 문제도 바로 못 보는 것이고, 실상도 바로 보지 못합니다. 이러한 현상과 실상을 아울러서 바로 보는 지혜가 반야입니다.

부처님은 전신이 다 사리가 됐습니다. 비록 우리가 악업이 좀 있다 하더라도 사리를 한 번 친견한 공으로 지옥, 아귀, 축생, 삼악도를 다 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선근이 많이 있어 삼악도를 본래 면할 수 있는 분들은 초승에서 천상이나 극락 가는 공덕을 발휘합니다.

사리는 헤아릴 수 없는 부처님이 무한공덕이 응집되어 있습니다. 부처님 공덕을 상상하면서 사리를 친견하고 부처님의 공덕을 가슴에 담았다가 성불의 자량 삼기를 행동으로 실천해야 될 것입니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현실에서 자신을 보지 말고 부처님 몸이 사리가 된 의미를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사리의 가르침을 받은 사람 가운데서도 차별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진실로 가르침을 받은 사람도 생각은 흔들림이 있을 것입니다. 바른 믿음과 고요한 마음을 갖기 시작하면 바른 소견으로 깨끗한 계를 지키며 착한 벗을 가까이 하며 바른 법을 알고 남에게 은혜를 베풀고 보시를 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면 마침내 보름달처럼 얼굴도 환해지고 인격도 훌륭해질 것입니다.

사리의 의미를 잘 알고 실천하고 있지만 사회의 유혹 속에 들어간 어떤 사람은 처음에는 잘 했지만 어느 순간 초지를 잃고 바른 소견과 바른 믿음을 잃습니다.

그런 뒤에는 점점 깨끗한 계를 지키지 않고 착한 벗을 멀리하며 바른 법 배우기를 게을리 합니다. 몸으로는 나쁜 행동을 하고 입으로는 나쁜 말을 하며 뜻으로는 나쁜 생각을 합니다. 이렇게 나쁜 인연을 지음으로써 우리는 비관자가 되어 목숨을 마친 뒤 나쁜 세상에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은 결코 비관자는 되지 말아야 합니다. 부처님 사리의 본성인 선(禪)을 실천해 사회에 아름다운 동반자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진리를 찾아가는 여정은 험난하지만 그 험난함 속에서 깨달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부처님 또한 혹독한 수련으로 몸을 상하게도 하셨습니다. 하지만 삶에 목적과 의지가 생긴다면 덥다, 힘들다, 행복하다고 소리 내는 일도 감사하다고 여겨질 것입니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