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가정 '콩이네집' 그 뒷 이야기

대한민국 어린이헌장 1항에는 '어린이는 건전하게 태어나 따뜻한 가정에서 사랑 속에서 자라야 하며, 가정이 없는 어린이에게는 이를 대신할 수 있는 알맞은 환경을 마련해 줘야한다'고 명시돼 있다.

하지만 지금의 대한민국은 어린이헌장 1항에서 벗어난 삶을 살고 있는 아이들이 너무 많다. 부모가 이혼을 했거나 경제적인 이유로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어 지난해에만 1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많은 아동들이 보육시설에 맡겨지고 있지만 시설이 가지는 구조적인 한계 때문에 대안가정과 같은 소규모 보육시설이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대안가정운동본부 관계자는 "효율성만 따지는 시설과는 달리 대안가정은 비록 내 아이는 아니지만 내 아이와 마찬가지로 가정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정상적인 가정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라며 "보통의 일반 가정과 가장 유사한 형태의 아동 보호제도라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아동 그룹홈이라고도 불리는 대안가정은 5명 내외의 아동과 상근 보육사 2명이 이루는 공동생활가정을 뜻한다.

하지만 2004년부터 법제화 된 대안가정에 맡겨지는 아동 수는 10%도 되지 않는다. 이는 시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대안가정이 떠오르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 제도가 널리 인식되지 못하기 있기 때문이다. 정부도 시설에 비해 대안가정의 장점이 크다고 보고 적극적으로 확대하려고는 하지만 실질적인 지원이 미흡하다는 점도 이 제도가 뿌리내리지 못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다.

많은 곳의 대안가정이 정부의 지원 없이 운영되고 있으며, 그나마 지원을 받는 곳도 보육교사 2명의 최저 인건비를 빼면 한 달에 몇 십만원 되지 않는 운영비가 전부. 그 마저도 대안가정 운영을 위해 보육교사의 급여가 다시 생활비로 쓰여지는 곳이 부지기수다.

대안가정운동본부 관계자는 "시설 중심에서 재가 중심으로 정책적인 변화가 필요하며, 그 때문에 대안가정이 활성화 돼야 한다"며 "정부와 사회의 관심으로 직접적인 지원 확대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대안가정은 시설과 달리 1∼2년 후 친부모가 아이를 다시 데려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대안가정에서 생활하고 있는 대부분의 아이들도 1∼2년 뒤에는 친부모가 돈을 많이 벌어 자기를 데리러 올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대안가정에서 생활하고 있는 아이들의 얼굴에는 짙은 그림자보다는 화사한 웃음과 밝은 미소가 더 많이 묻어났다. 기자가 지난 14일 찾은 거제면 소랑마을 '콩이네집' 아이들도 아픔을 간직한 아이들이라는 느낌보다는 밝고 건강한 모습이었다.

당장은 규모가 크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정부의 지원책보다는 지역사회와 기업체의 따뜻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할 때다.

햇살 가득한 가을 어느 날. 널찍한 '콩이네집' 마당에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잔디밭과 그 잔디밭 한 켠에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그네'와 '시소', 그리고 여유롭게 책을 읽으며 아이들이 뛰어노는 모습을 지켜볼 수 있는 '엄마'들을 위한 벤치가 하나 만들어졌으면 하는 생각이 불현듯 든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